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뉴스
모바일
클라우드
시큐리티
가젯
IoT
엔터테인먼트
AI
블록체인
MIT테크리뷰
스타트업
게임/연예
동영상
로그인
회원가입
×
TECH M
☰
×
로그인
회원가입
뉴스
모바일
클라우드
시큐리티
가젯
IoT
엔터테인먼트
AI
블록체인
MIT테크리뷰
스타트업
게임/연예
동영상
나노
태그로 총 14건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연구팀, 빠른 '미세먼지·가습기살균제' 유해성 평가방법 개발
미세먼지와 가습기 살균제 등 초미세 물질의 유해성을 빠르게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18일 학계에 따르면 영남대 기계공학부 변정훈 교수와 약학부 김종오 교수, 연세대 기계공학부 황정호 교수 연구팀은 플러그를 꽂기만 하면(Plug-in system) 항균 능력이 있는 수백나노미터(nm) 이하 무기나노입자를 미세먼지(Aerosol) 형태로 제조하는 방법…
2019-11-19
강원순 기자
근적외선 쬐면 원래 모양으로 돌아가는 형상기억 소재 개발…KIST, 광열효과 갖는 탄소나노튜브 기반 복합소재
국내 연구진이 근적외선을 쬐면 원래 모양으로 돌아가는 형상기억 복합소재를 개발했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구조용복합소재연구센터 정용채 센터장 연구팀과 광주과학기술원(GIST) 이재석 교수 연구팀이 공동연구를 통해 근적외선을 비추면 10초 내에 스스로 형상이 복원되는 형상기억 복합소재를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형상기억특성은 열이나 외부 자극을 받았을 …
2019-10-15
박응서 기자
수소연료전지 내구성 높인 나노튜브 촉매 담지체 개발
최근 수소 전기차가 내연기관 자동차를 대체할 미래 친환경 자동차로서 주목받고 있다. 국내 연구진이 수소차 동력원인 수소연료전지 내구성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수소연료전지연구단 김진영 박사팀이 비탄소계 촉매 담지체를 활용해 수소연료전지의 성능과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수소연료전지는 저…
2019-08-22
박응서 기자
탄소나노튜브섬유 상용화할 제조법 개발…단단하고 유연하며 금속처럼 전기전도도 우수해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탄소융합소재연구센터 김승민 박사, 기능성복합소재연구센터 정현수 박사, 서울대 재료공학부 박종래 교수 공동 연구팀이 기존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 방법의 장점을 융합해, 매우 가벼우면서 높은 강도와 전기전도도를 갖는 탄소나노튜브섬유를 빠르게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탄소나노튜브는 기존 소재보다 우월한 물성을 보유해 탄…
2019-08-02
박응서 기자
신 기술로 나노와이어 상용화 난제 해결…나노와이어 원하는 대로 배치하고 정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광전소재연구단 최원준 박사와 울산과학기술원(UNIST) 백정민 교수, 이화여대 김명화 교수 공동연구팀이 단결정 이산화바나듐(VO2) 나노와이어를 정확하게 배치하고 정렬하는 공정 기술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나노와이어는 단면 지름이 나노미터 수준인 선 모양 물질이다. 전기적으로 뛰어난 특성을 보이며, 표면적이 넓어 태양전지나 …
2019-07-30
박응서 기자
[기업탐탐] 나노브릭, 상상 이상의 혁신
기자들이 직접 기업탐방을 다녀오고 그 현장을 생생히 전해드리는 기업탐탐 시간입니다. 오늘은 기능성 나노 신소재 전문기업 '나노브릭' 현장을 안내합니다. 정희영 기자와 함께 합니다.[ 키워드 ]1. 플랫폼2. 위조방지3. 바이오앵커1) 나노브릭은 코스닥 상장을 앞두고 있는 기업이죠. 아직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어떤 회사인지 소개해주시죠.기자) …
2019-07-10
정희영 기자
차세대 입는 히터 개발…나노물질 맥신 기반의 기능성 히터
추위에 약한 사람들에게 필요한 획기적인 옷이 등장할 전망이다. 국내 연구진이 옷을 따뜻하게 만들어 줄 수 있는 차세대 웨어러블 히터를 개발했기 때문이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물질구조제어연구센터 구종민 센터장과 연세대 나노고분자연구실 박철민 교수 공동 연구팀이 나노 신물질인 맥신(MXene)을 이용해 유연하고 대면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차세대 투명 웨…
2019-06-28
박응서 기자
울퉁불퉁 표면에 쓸 수 있는 플렉서블 센서 기술 개발…하이드로젤 이용한 나노메쉬 전극 전사 프린팅 기술
최근 스마트워치나 피트니스 밴드 같은 웨어러블 기기들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 특히 옷처럼 입는 형태에서 피부에 붙이는 형태로 기술이 확장되고 있다. 국내연구진이 이 같은 흐름을 앞당길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스핀융합연구단 이현정 박사팀이 하이드로젤과 나노 잉크 소재를 이용해, 다양한 형태와 구조의 유연기판에 고성능 센서를 …
2019-06-18
박응서 기자
정전기로 충전하는 스펀지 나노발전기 개발…블루투스 센서 충전과 작동, 사물인터넷 응용 기대
전자제품을 못쓰게 만들기도 하는 생활 속 정전기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기술이 개발됐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전자재료연구단 송현철 박사와 강종윤 단장 연구팀이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로 생활 속에 골칫거리인 정전기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스펀지 형태의 고내구성·고출력 나노발전기를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KIST 연구진은 증기캡슐공정(Vap…
2019-06-11
박응서 기자
나노복합 촉매제와 초음파로 오염물과 환경호르몬 제거…폐자원 활용, 친환경고효율 폐수 처리 촉매제 개발
국내 연구진이 폐자원을 활용해 환경호르몬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물자원순환연구센터 최재우·정경원 박사팀은 농촌지역에서 흔히 발생하는 부산물을 활용해 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내분비계 교란물질인 환경호르몬을 높은 효율로 제거할 수 있는 폐수 처리 공정을 개발했다고 …
2019-05-28
박응서 기자
탄소나노소재를 밀가루 반죽 방식으로 잉크나 페이스트로 바꿔…국내 연구진 탄소나노소재 실용화 앞당겨
차세대 전극재료로 각광받고 있는 탄소나노소재 활용도가 높아질 전망이다. 국내 연구진이 탄소소재 가루를 잉크나 페이스트로 바꾸는 기술을 개발했다.한국전기연구원(KERI) 나노융합연구센터 한중탁 박사팀이 기능화와 용매 분산 과정에서 탄소나노소재 손상을 최소화하고 전도성을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연구팀은 밀…
2019-05-08
김지현 인턴기자
[MIT테크놀로지리뷰] 거인들의 땅
수십억달러(약 수조원) 가치를 지닌 중국 기술 회사들은 정부가 인센티브를 제공하면서도 간섭하지 않아 번창했다. 하지만 미래에도 이를 기대할 수 있을까 1980년대 초 한 무리의 컴퓨터 회사들이 북경대와 칭화대 근처에 있는 베이징 북서쪽 한 구석에 들어섰다. 혼란스럽지만 전자거리라고 이 지역이 알려지면서 점점 많은 자전거와 손으로 그린 표지판이 들어섰다. 그…
2019-02-11
독점제휴=MIT테크놀로지리뷰
체내에 흡수된 초미세플라스틱, 세포 파괴하며 독성 높여
국내 연구진이초미세플라스틱이 몸에 들어와 세포를 파괴하고 독성을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한국생명공학연구원 환경질환연구센터 정진영 박사팀과 질환표적구조연구센터 이정수 박사팀이 실험동물인 제브라피쉬를 이용해 초미세플라스틱이 체내에 흡수되며, 미토콘드리아를 파괴해 독성을 증폭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10일 발표했다.연구…
2019-01-10
박응서 기자
ETRI, 고해상 디스플레이 제품 위한 ‘유기 나노 렌즈’ 기술 개발
최근 고성능 디스플레이 제품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보다 고화질의 영상을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전력소모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술을 개발하려고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이러한 디스플레이 제품에 사용되는 ‘유기 나노 렌즈’ 제작 기술 개발에 성공했…
2018-09-06
곽예하 기자
«
‹
1
›
»
더보기
유료회원 신청하기
인기기사
광고영역
태그
캐논
Eye템
펫팸족
헤이구글
백트
쌍용건설
블루보틀
랄라블라
조이코퍼레이션
제페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