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카카오 '악성 댓글러' 댓글 못쓰게 한다

댓글 '접기·덮어두기' 기능도 도입

2020-02-26테크M 남도영 기자

카카오가 뉴스 서비스에 달린 악성 댓글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고 댓글을 보기 원치 않는 이용자를 위한 '접기'와 '덮어두기' 기능을 추가한다.

카카오는 포털 다음과 카카오톡 '#탭'의 뉴스 댓글 서비스 및 운영 정책을 개편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개편은 악성 댓글 신고 및 제재 정책을 강화하는 게 골자다. 그동안 카카오는 악성 댓글을 막기 위해 24시간 댓글 신고센터를 운영하고 인공지능(AI) 기술로 모든 댓글의 욕설과 비속어를 필터링하는 '욕설 음표 치환 기능' 등을 적용해왔다. 이번 개편에서는 '욕설·비속어' 뿐만 아니라 '차별·혐오'에 대한 신고 항목을 신설했다. 욕설이나 비속어를 쓰지 않아도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거나 개인의 인격 및 명예를 침해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했다.

이용자가 신고한 악성 댓글에 문제가 있다고 확인되면 해당 댓글을 삭제할 뿐만 아니라 작성자에 대한 제재도 진행한다. 경고 누적 횟수나 수위에 따라 댓글 작성 권한을 제한한다. 심하면 영구 정지까지 받을 수 있다. 악성 댓글을 신고한 이용자에게는 '신고 알림' 기능을 통해 결과를 알려준다. 

카카오 뉴스 댓글 서비스 개편 이미지

이와 함께 댓글 영역 자체의 노출을 관리할 수 있는 '접기' 기능도 생겼다. 댓글 영역 상단의 'ON/OFF' 버튼에서 'OFF'를 선택하면 댓글 영역 전체가 사라진다. 또 다시 'ON' 버튼을 누르면 댓글을 확인할 수 있다.

또 보고 싶지 않은 댓글이나 해당 댓글 작성자를 앞으로 나에게 보이지 않게 하는 '덮어두기' 기능도 생긴다. 이용자가 많이 덮어둔 댓글과 작성자에 대한 데이터는 AI로 분석해 댓글 서비스 개선에 활용할 방침이다.

카카오는 혐오·폭력성 콘텐츠에 대한 자율규제 기준과 이행 방안에 대한 논의도 시작했다. 외부 전문가와 이용자들과의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플랫폼 자율 규제애 대한 정책을 고도화 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여민수·조수용 카카오 공동대표는 "이번 개편은 다수 이용자들의 선한 의지와 영향력이 서비스에 반영될 수 있게 함으로써 커뮤니케이션 생태계를 이용자들이 직접 만들어 갈 수 있게 한 것"이라며 "이용자의 권리와 인격을 보호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약속드린 조치들을 지속적으로 실행해 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카카오는 지난해 10월 플랫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한 뉴스 및 검색 서비스 개편 계획을 발표하면서 연예뉴스 댓글을 폐지했다. 이어 인물 관련 검색어 및 서제스트(검색어 자동 완성 추천) 개편, 실시간 이슈 검색어 서비스 종료 등의 방안을 이행해왔다. 카카오 측은 "최신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를 연내 선보일 예정"이라며 "이용자 개개인의 취향과 니즈를 반영한 콘텐츠 구독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남도영 기자 hyun@techm.kr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