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스트레스가 다재다능한 그래핀 만든다…UNIST 연구진, 그래핀 기능화 반응 촉진 새 방법 규명

2019-11-07박응서 기자

UNIST 자연과학부 교수(특훈교수, IBS 다차원탄소재료 연구단 단장). 사진제공 UNIST

차세대 소재로 각광 받는 그래핀의 기능을 더 다양하게 만들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규명됐다.

UNIST는 자연과학부 로드니 루오프 교수팀(IBS 다차원탄소재료 연구단 단장)은 기능기가 달린 그래핀을 합성할 때, ‘그래핀이 합성되는 구리 기판의 표면 결정방향이 반응 속도와 균일도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7일 밝혔다.

탄소가 육각형 벌집 구조로 이어져 얇은 탄소막을 구성하는 그래핀은 우수한 물리․화학적 성질 덕분에 차세대 소재로 인기가 높다. 이런 그래핀에 기능기(functional group)를 추가하면 그만큼 다재다능한 능력을 더할 수 있다.

그래핀은 주로 화학기상증착법(CVD)으로 합성한다. 높은 온도에서 기체상태의 원료가 금속 기판을 만나 분해되고, 분해된 탄소들이 다시 결합하면서 그래핀이 만들어지는 원리다. 이때 원료가 되는 물질의 화학적 조성이나 금속 기판의 종류와 결정성 등이 그래핀 특성에 영향을 준다.

연구진은 ‘구리 기판 표면의 결정구조’에 주목했다. 구리 금속은 원자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되며 쌓이는데 이를 결정구조라고 한다. 그런데 결정구조가 똑같은 구리라도 자르는 단면 방향에 따라 표면의 결정구조가 달라질 수 있다. 수박을 가로로 잘랐을 때와 세로로 잘랐을 때 자른 단면이 다른 것과 비슷한 원리다.

연구팀은 결정구조가 다른 세 종류의 구리 기판 위에서 환원기능기가 달린 그래핀을 합성했다. 그 결과 세 번째 구리 표면에서 일어나는 반응이 가장 균일하고 빨랐다. 세 번째 구리 표면에서 성장한 그래핀은 다른 결정구조 표면보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기 때문이다. 스트레스가 많으면 그래핀 내부에 압축변형이 더 잘 일어나고, 그 영향으로 기능기를 더하는 반응(기능화 반응)도 촉진됐다.

 

압축변형률(절대값)이 높을수록 환원 기능화 반응에 필요한 에너지가 낮아진다. 사진제공 UNIST

 

연구팀은 내부 스트레스에 따른 압축변형 정도를 보여주는 ‘압축변형률’이 기능화 반응에 미치는 영향도 계산했다. 그 결과 압축변형률이 클수록 반응에 필요한 추가 에너지가 적었다. 즉 변형률이 높을수록 반응이 더 쉽게 일어났다. 구리 기판 위에서 스트레스를 받으며 성장한 그래핀은 기능화 반응에서는 스트레스 덕을 보는 셈이다. 또 열을 가해 ‘기능기’를 제거했을 때는 그래핀의 압축 변형률이 원래대로 돌아왔다.

루오프 교수는 “단결정 그래핀에서 압축변형이 그래핀 표면의 반응성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규명한 뜻 깊은 연구”라며 “화학기상증착법으로 성장한 그래핀은 태생적으로 스트레스로 인한 압축변형을 내포하므로, 이번에 발견한 원리를 이용하면 기존보다 쉽게 그래핀 성질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재료화학분야 국제 학술지인 ‘재료화학(Chemistry of Materials)’ 온라인에 10월 17일자로 공개됐다.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