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ETRI, 손쉬운 인터렉티브 영상 제작 플랫폼 개발

인터랙티브 미디어 제작 기술 개발로 1인 미디어 창작시대 활짝

2019-10-29박응서 기자

2018년 부산 S/W 교육 페스티벌에서 시나리오 기반 인터랙티브 미디어 플랫폼을 사업화한 유림인포텍의 ‘어린이 북튜버 학교’를 시연하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 ETRI

국내 연구진이 시청자와 상호 교감하며 즐기는 영상물을 쉽게 제작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했다. 5G 시대에 걸맞는 실감형 콘텐츠와 1인 미디어 창작을 활성화하는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부산광역시와 함께 인터랙티브 미디어 창작 플랫폼인 ‘모두비(MODUVI)’를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인터랙티브 미디어는 스토리텔링 기법 중 하나로 체험자와 상호작용하면서 선택에 따라 스토리와 결과가 달라지는 연출 방식을 적용한 콘텐츠다. 예를 들어 영화에서 관람자 선택에 따라 서로 다른 스토리를 제공할 수 있고, 주인공 스마트폰과 관람자 스마트폰 앱을 통해 영화 속 주인공과 양방향으로 소통할 수도 있다.

인터랙티브 콘텐츠는 그동안 게임과 영화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드라마와 사이니지(Signage), 인터넷 강의 같은 다양한 미디어로 서비스 분야가 넓어지는 추세다. 특히 최근 인터넷 TV 업체에서 인터랙티브 상업 영화가 인기를 끌면서 더욱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동안 미디어 업체는 콘텐츠 제작 시 해당 콘텐츠를 위한 영상 촬영 등 1회성 개발 작업을 진행해왔다.

하지만 ETRI는 다양한 영화 장면으로 재구성된 콘텐츠를 쉽게 만들 수 있는 플랫폼을 제작했다. 아이디어만 있던 창작자나 영상 촬영과 편집이 어려웠던 제작자들에게 단비가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연구진은 이번에 개발한 플랫폼 핵심기술이 ▲영화 장면을 자동으로 분할하는 기술 ▲영화장면 자동분석과 태깅(Tagging) 기술 ▲영화 장면 검색과 재구성 기술 ▲영상과 인터랙션하고 반응을 전달하는 기술 ▲객체를 제어하고 변환하는 기술 등이라고 밝혔다.

이 기술은 기존 영상을 기반으로 새로운 창작물을 만든다. 사용자가 기존 영화나 드라마, 애니메이션은 물론 개인 촬영 영상 등을 플랫폼에 업로드해 영상 아카이브를 구축할 수 있다.

사용자는 편집 과정에서 특정 영상을 찾기 위해 일일이 찾아볼 필요가 없다. 아카이브 구축 과정에서 플랫폼이 영상 장면별 의미를 분할하고, 메타 데이터를 자동으로 분석해 붙여주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쉽게 영상을 찾아 인터랙티브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젊은 여성이 바닷가를 달리고 있다”라고 입력하면 자연어 분석을 통해 관련 영상이 자동으로 검색되는 방식이다.

이 기술은 웹 기반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해 간편한 연동, 동적인 스토리 제어, 영상 내 객체 제어 기능을 제공해, 관련 기관으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아 다양한 시범 활동을 계획중이다.

특히 지난달에 ETRI와 동의대 LINC+ 사업단, 씨네폭스와 업무협력 의향서(LOI)를 체결했다. 동의대는 영화학과 수업 과정에서 이 플랫폼을 운영, 콘텐츠 생산을 활성화하고, 제작자 측면에서 추가 요구 사항을 수집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예비 창작자들의 창작 능력을 향상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씨네폭스도 이 플랫폼을 활용해 동의대 영화학과에서 제작된 인터랙티브 영화를 영화 포털 사이트에 추가하고 시장성을 타진한다는 계획이다.

현 부산국제단편영화제 집행위원장인 동의대 영화학과 차민철 교수는 “ETRI 기술을 활용해 학생들이 인터랙티브 미디어 제작 실무 능력을 기를 예정"이라며, "앞으로도 사용자 참여 기반 새로운 콘텐츠 제작이 가능하도록 연구진과 플랫폼 고도화를 위해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연구책임자인 ETRI 박종현 지능화융합연구소장도 “이 플랫폼으로 인터랙티브 미디어 창작 대중화를 이루고, 인터랙티브 미디어 제작 활동에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해 나가고자 한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향후 교사들이 교육 교재를 만들거나 학습과정별 인터넷 강의 영상을 연결하는 등 공공기관과 교육용 콘텐츠, 영상콘텐츠 제작업체 등에 기술이전을 계획하고 있다.

한편 ETRI는 지난 16일부터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된 부산 SW교육 페스티벌에도 본 결과물을 시연해 큰 호응도 얻었다.

 

박응서 테크엠 기자   gopoong@techm.kr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