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온난화 주범 이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원료로 바꾸는 기술 개발

2019-10-29박응서 기자

KIST 황윤정 박사팀 연구원이 구리 금속에 금속산화물을 도입한 촉매를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에틸렌과 에탄올 같은 탄소화합물 원료로 전환하고 있다. 사진제공 KIST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이산화탄소를 가치 높은 화학 원료로 바꿔주는 기술을 국내연구진이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청정에너지연구센터 황윤정 박사 연구팀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김형준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로 온실가스로 알려진 이산화탄소를 전환해 에틸렌과 에탄올 같이 산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탄소화합물로 바꾸는 새 전기 촉매 기술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산화탄소 같은 물질을 고부가가치 화학 원료로 직접 바꾸는 전환기술은 경제 가치 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를 줄여, 기후 변화 대응 핵심기술로도 발전할 수 있다.

이미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나 포름산만을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고성능 촉매 소재가 개발됐다. 하지만 에틸렌과 에탄올 같이 복합적이고 활용도가 높은 다탄소화합물을 만드는 기술은 선택도가 40~70% 수준으로 충분하지 못하다.

KIST 연구진은 구리 촉매 소재에 ‘세리아’라는 금속산화물을 도입해 다탄소 화합물 선택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신규 촉매 설계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촉매는 65%로 높은 생성전류 선택도를 보였다.

또 KIST 연구진은 계산화학 모델링으로 계면에서 촉매 다양성 반응 원인도 규명했다. 특히 구리와 세리아 계면을 조절해 이산화탄소 전환 생성물 비율을 조절할 수 있었다.

KIST 황윤정 박사는 “이산화탄소 전환 생성물의 다양성을 높이는 촉매 소재 연구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며, “촉매 반응 이해와 촉매 소재 개발 전략이 이산화탄소 활용 기술 실용화 가능성을 높일 것”이라고 기대감을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에너지 분야 최고 수준 과학전문지인 ‘ACS에너지레터’ 최신호에 게재됐다.

 

박응서 테크엠 기자  gopoong@techm.kr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