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국내 연구진, 가격 경쟁력 뛰어난 수소 촉매 개발…전자껍질’ 조절해 ‘밀당’ 잘하는 이리듐 촉매

2019-09-23박응서 기자

수소발생반응의 반응 원리를 보여주는 모식도. 사진제공 UNIST

물을 전기로 분해해 수소를 얻으려면 ‘촉매’가 필요하다. 현재는 효율이 좋은 백금을 주로 사용하는데 비싸다는 단점이 크다. 이에 백금을 대체할 물질이 꾸준히 개발되고 있는데, 최근 국내 연구진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이리듐 촉매를 개발했다.

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의 백종범 교수팀은 중국 연구진과 공동으로 이리듐(Ir)-질소(N)-탄소(C)로 이뤄진 수소발생 촉매를 합성했다. 이 촉매는 수소 원자를 당기고 밀어내는 두 작용을 적절히 해내, 백금보다 낮은 과전압에서 수소를 발생시킨다. 효율과 가격에서 경쟁력을 높인 촉매다.

수소 발생 촉매는 다음 두 조건이 뛰어나야 한다. 수소 원자가 촉매에 잘 붙고(흡착), 수소 원자가 분자로 바뀌면 촉매 표면에서 잘 떨어져야(탈착) 한다. 일반적으로 수소발생 촉매에서 수소 흡착과 탈착 성질은 서로 반비례한다. 따라서 흡착과 탈착 반응 사이에 적절한 조율, 즉 ‘밀당’을 잘하는 물질이 좋은 수소 발생 촉매다.

연구진은 원자 내 전자 모양과 에너지를 확인할 수 있는 범밀도함수 이론을 활용한 계산으로 이리듐의 흡착과 탈착 에너지를 조절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이리듐은 백금을 대체할 차세대 촉매로 꼽히는 물질이다. 하지만 수소 발생에서 수소 원자 흡착에 어려움이 있었다. 수소 원자가 이리듐 표면에 붙는 데 필요한 에너지가 높기 때문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리듐의 흡착 에너지를 낮추는 데 ‘질소와 탄소로 이리듐 원자의 전자껍질(Orbital)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이리듐 주변에 전자를 좋아하는 성질이 큰 질소와 탄소를 적절히 배치해 수소 원자를 당기는 힘을 키워준 것이다. 줄다리기할 때 옆에서 도와주는 사람이 있으면 당기는 힘이 더 커지는 원리와 같다.

연구진은 이 내용을 원자 내 전자들의 모양과 에너지를 확인할 수 있는 ‘범밀도함수 이론’으로 계산했다. 이론적 계산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가운데 공 모양의 빈 공간을 갖는 ‘이리듐-질소-탄소(IrHNC)’ 촉매를 합성했다. 공 모양의 플라스틱(폴리스타이렌) 입자 표면에 세 원소를 입힌 후 플라스틱을 제거하는 방식을 쓰자, 속 빈 원형의 입자 표면에 이리듐과 질소, 탄소가 균일하게 분포됐다.

이 촉매의 전기화학적 수소 발생 성능을 산성 환경에서 확인한 결과 백금 촉매와 순수한 이리듐 나노입자보다 훨씬 뛰어났다. 또 열분석장비로 살펴본 결과 귀금속인 이리듐 함량도 7% 정도로 확인됐다. 이리듐 역시 귀금속이지만 소량만 사용하면서 값싼 탄소와 질소와 섞어 고효율 촉매를 만들어낸 것이다.

이리듐 촉매를 개발한 백종범 교수(왼쪽)와 펑리 박사. 사진제공 UNIST

 

제1저자로 연구를 주도한 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의 펑 리(Feng Li) 박사는 “좋은 성능만 쫓아 새로운 물질을 합성하는 방식에서 ‘전자껍질(오비탈)을 조절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촉매 효율을 높인 연구”라며 “이번에 쓰인 방식을 활용하면 다른 금속 기반의 촉매를 설계하는 데도 도움 될 것”이라고 전했다.

백종범 교수는 “질소나 탄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격이 고가인 이리듐을 아주 소량만 사용해 고효율 촉매 개발에 성공했다”며 “상용화할 경우 가격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 연구는 저명한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에 9월 6일자로 게재됐다.

 

박응서 테크엠 기자  gopoong@techm.kr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