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KT, 기업 사설교환기 해킹하는 ‘국제전화 불법호’ AI 기술로 예방

2019-09-19김태환 기자

KT가 18일(현지시간) 포르투갈 리스본에서 위두 테크놀로지스와 ‘AI 기반 국제전화 불법호 탐지 솔루션’ 공급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KT가 AI 기술을 해외에 수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국제전화 불법호’는 기업용 사설교환기(IP-PBX)를 해킹한 후 제3국의 부가서비스 사업자에게 다량의 국제전화를 발생시켜 통신사업자에게 국제통화, 부가서비스 요금 피해를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이 같은 수법은 통신망 관련 해킹 가운데 가장 큰 피해를 입히는데, 국제적으로는 ‘IRSF(International Revenue Share Fraud)’라고 통칭한다.

KT가 이번에 공급하기로 한 AI 기반 국제전화 불법호 탐지 솔루션은 자체 기술을 바탕으로 국제전화 불법호를 빠르게 탐지해 피해를 최소화하는 시스템이다.

이 솔루션은 AI를 활용해 국제전화 불법호 판별시간을 줄여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기존 방식으로 발견이 어려웠던 패턴까지 스스로 분석해 찾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높은 오탐지 방지율을 확보했고, 정확도가 최대 50% 향상됐다. 특히 국제특허출원 중인 텍스트 형태의 국제전화 과금 데이터를 이미지로 변환한 후, AI 딥러닝 엔진의 패턴 분석 기술로 KT만의 독보적인 경쟁력을 갖추었다.

KT는 국제전화 불법호 피해예방을 위해 AI 기반의 실시간 탐지 솔루션(AI-RFCS)을 자체 개발했다. 이를 지난해부터 국제통신망에 적용해 국제사기와 해킹전화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고 있다.

한편 KT는 최근 상용화한 AI 기술로 그룹사인 비씨카드의 금융거래 데이터와 후후의 통화정보 데이터를 학습시켜 글로벌 금융 사기판별∙방지(FDP) 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다. 금융 FDP 분야는 통신 FMS보다 훨씬 큰 시장으로, KT는 AI와 빅데이터 노하우를 바탕으로 차별화된 솔루션을 준비하고 있다.

김영우 KT 글로벌사업개발본부장 상무는 “이번 계약은 KT가 보유한 AI 기술과 통신 분야의 노하우가 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면서 “KT는 위두와 협업을 바탕으로 글로벌 AI 기술시장을 더 적극적으로 공략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태환 테크엠 기자 kimthin@techm.kr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