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SKT· KT·LG유플…투자비·요금·망사용료 '3중고'

2019-09-02이명재 기자

[앵커멘트]
이동통신사들이 5G 기지국을 구축하느라 초기비용이 급증하면서 실적 악화에 시달리고 있는데요. 하반기에도 비용 부담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주파수 재할당에 수조원의 돈을 쏟아부어야 하는데다, 요금인하 압박과 망사용료 논란 등 직면한 과제도 산적해 있습니다. 이명재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사내용]
이동통신 3사가 5G 관련 투자비용 증가에 요금인하 압박, 망사용료 문제 등으로 골치가 아픈 상황입니다.

통신3사가 올해 기지국 구축 등에 쓰는 비용은 약 8조원. 5G 상용화 첫해인 만큼 전체 커버리지의 70% 수준까지 망을 깔겠다는 계획입니다.

5G 단말기 가격이 비싼데다 네트워크 상태가 불안정하다는 인식이 많아 여러 불만을 잠재우기 위해 기지국 확대, 서비스 최적화에 주력할 수 밖에 없습니다.

마케팅 등 영업비용이 늘어나는 것도 고민거리입니다. 최근 출시된 갤럭시노트10 외에 갤럭시폴드, 아이폰11 등 새 프리미엄폰이 연이어 나올 예정이어서 고가의 보조금으로 고객을 붙잡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SKT, KT, LG유플러스 등 이통3사가 5G 주파수 경매에 쓴 돈은 3조6,000억원. 2년 뒤 정부의 5G용 주파수 재할당이 예정되어 있어서 수조원에 달하는 금액을 다시 쏟아부어야 합니다.

5세대 이동통신이 향후 10년간 주요 수익원이 된다는 점에서 주파수 확보 전쟁이 벌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와 시민단체 등의 5G 요금인하 요구도 이통사에게 큰 부담입니다. 가뜩이나 돈 나갈 곳이 많은데 수익성이 적은 저가상품을 하나 더 만들어야 한다는 점에서 매우 꺼려합니다.

처음으로 4만원대 요금제를 출시한 LG유플러스와 달리 SK텔레콤과 KT는 여전히 검토만 하고 있습니다.

망 이용대가·증설 등 비용 분담을 원하는 통신사, 돈을 낼 수 없다며 버티는 글로벌 CP간 갈등이 최고조에 달한 가운데 이통사들은 방통위-페이스북 소송 진행상황을 지켜보고 있습니다.

각종 비용상승으로 오랜 기간 실적 악화에 시달린 이통사들이 악재를 딛고 실적반등을 꾀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머니투데이방송 이명재입니다.


이명재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