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초전도 기술을 이용한 세계 최초 달걀 세우기 성공…회전 테슬라를 넘어선 신개념 달걀 세우기

2019-08-20박응서 기자

한국전기연구원(KERI)이 세계 최초로 초전도 기술을 활용해 달걀 세우기에 성공했다. 달걀을 깨서 세웠던 콜럼버스와 회전 자기장으로 달걀을 돌려서 세웠던 테슬라 수준을 뛰어 넘어, 초전도 기술로 달걀을 세우고 공중부양까지 해냈다.

 

달걀은 밑바닥이 둥글기 때문에 바로 세우기가 매우 어렵다. 잠깐 세운다고 해도 무게중심이 높고 밑바닥이 평평하지 않아 바로 쓰러진다.

달걀 세우기가 유명해진 것은 과거 신대륙을 발견했던 콜럼버스가 달걀 한쪽 끝을 살짝 깨서 세웠던 이야기에서 시작한다. 기존의 고정관념을 깨고 발상의 전환과 혁신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린 콜럼버스의 교훈을 강조한 사례다.

이후 전 세계 사람들이 새로운 혁신을 보이고자 달걀 세우기에 도전했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천재 과학자인 ‘니콜라 테슬라’가 회전하는 자기장으로 달걀을 돌려서 세운 방법이다. 또 남미 에콰도르에서는 원심력이 지면과 수직인 적도에서 달걀 세우기에 성공했다.

이런 배경에서 KERI는 전기기술을 활용해 신개념 달걀 세우기를 선보였다. 달걀 세우기를 넘어 공중부양까지 이뤄냈다. KERI 최규하 원장을 비롯한 실험팀은 ‘초전도’라는 특수한 전자기 현상을 활용해 달걀을 세울 수 있을 것이라는 발상으로 도전했다.

‘초전도(Superconductivity)’는 금속 같은 물질을 일정 온도 이하로 냉각하면 갑자기 전기저항을 잃고 전류를 무제한으로 흘려보내는 현상이다. 초전도체는 내부로 자기장이 통과하지 못하고 밀려나는 일명 ‘마이스너 효과(Meissner effect)’라는 특성을 가져 자석 위에 초전도체를 갖다 대면 공중부양을 하는 신기한 현상이 발생한다.

실험팀은 이런 초전도 특성을 생각해, 달걀 밑에 자석을 접착제로 붙인 뒤, 이 달걀을 액체질소로 냉각된 초전도체 위에 올렸다. 그 결과 초전도체 특유의 마이스너 효과(Meissner effect)로 달걀을 세우고 공중부양까지 확인했다.

KERI 최규하 원장은 “그동안 수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달걀 세우기를 시도했지만, 초전도 기술을 활용한 사례는 KERI가 최초”라며 “상상을 현실로 만드는 첨단 전기기술이 미래의 우리 삶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박응서 테크엠 기자   gopoong@techm.kr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