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벌꿀 잔류 동물용의약품 26종 동시분석법 개발…국내외 잔류허용기준 총망라한 원스톱 분석법

2019-08-13박응서 기자

식품연의 유미영 박사 연구팀이 이용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 기기. 사진제공 식품연

한국식품연구원(식품연)은 벌꿀에 잔류하는 동물용의약품 26종에 대해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분석법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현재 벌꿀에 대해 허용된 잔류동물용의약품 성분은 국내 기준 10종이다. 여기에 외국 등에서 사용하는 새로운 동물용의약품 16종을 추가한 26종에 대해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이번에 개발한 것이다.

식품연 유미영 박사 연구팀이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법(LC-MS/MS)을 활용해 개발한 이 분석법은 극미량의 화합물에 대해 정성·정량 분석이 가능하며, 국제식품규격(CODEX) 가이드에 준하는 수준의 벌꿀 잔류 동물용의약품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다.

벌꿀을 생산하는 꿀벌은 집단생활을 하는 관계로 각종 질병에 노출돼 있어, 양봉가에서는 미국부저병, 유럽부저병, 꿀벌응애 등 꿀벌에 치명적인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동물용의약품을 사용하고 있다.

동물용의약품을 과다하게 사용하면 최종생산물인 벌꿀에 남아, 인체에 위해를 미칠 수 있다. 이에 국내에서는 벌꿀에 잔류하는 동물용의약품 성분 10종에 대해 허용기준을 설정해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올해부터 농약허용물질목록관리제도 도입 등 잔류농약 허용기준이 대폭 강화함에 따라 국내외에서 유통되는 벌꿀에 대한 안전관리를 위해 벌꿀에 잔류하는 동물용의약품을 빠르게 분석하는 방법이 필요했다.

유미영 박사팀은 벌꿀에 잔류하는 동물용의약품을 동시에 분석하기 위해 퀘쳐스(QuEChERS)와 고상추출법(SPE) 같은 전처리 방법을 적용했다. 또 벌꿀 내 미량 잔류 동물용의약품을 정량하기 위해 질량분석법(LC-MS/MS)을 이용해 새로운 분석법을 확립했다.

한국식품연구원 김재호 산업지원연구본부장은 "이번 연구성과를 통해 벌꿀에 대한 잔류 동물용의약품 성분에 대한 국내 기준뿐 아니라 국제 기준에도 부합하는 분석을 할 수 있어 벌꿀 수출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응서 테크엠 기자   gopoong@techm.kr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