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전 세계 기업 데이터 유출 피해금액 390만달러…지난 5년간 12% 상승

IBM '2019 글로벌 기업 데이터 유출 현황' 발표

2019-07-24김태환 기자

전 세계 기업들의 데이터 유출로 인한 피해금액이 기업 평균 390만달러(약 46억원)에 육박한 것으로 파악됐다.

24일 IBM은 글로벌 보안컨설팅 전문업체 포네몬 인스티튜트와 공동으로 전 세계 16개국 500여 개 기업의 데이터 유출 현황을 조사 분석한 ‘2019 글로벌 기업 데이터 유출 현황’ 보고서를 공개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처음으로 일반 데이터 유출 사례와 더불어 데이터 유출로 인한 장기간의 재무적 영향에 대한 분석도 진행했다. 또 작년에 이어 국내 26개 기업을 설문 대상에 포함해 국내 데이터 유출 피해 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기업의 평균 피해액은 392만달러(약 46억원)로 지난 5년간 약 12%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IBM은 피해액 증가 원인으로 ▲데이터 유출로 인한 다년간의 재무적 피해 ▲규제 강화 ▲보안사고 해결을 위한 복잡한 절차 등을 꼽았다.

데이터 침해로 인한 재무적 영향은 중소기업에서 특히 두드러졌다. 보고서는 근로자 500인 미만 기업이 평균 250만달러(약 29억4000만원) 이상의 피해를 보았다고 밝혔다. 이는 평균 연 매출 5000만달러(약 589억원) 이하인 소규모 기업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수준이다.

또 데이터 유출의 절반 이상이 악성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비롯된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버 공격으로 인해 발생한 피해액은 평균 445만달러(약 52억4000만원)로 내부 시스템 오류(350만달러) 또는 임직원 실수(324만달러)로 인한 피해액 대비 100만달러(약 11억원) 이상 높았다. 지난 6년간 악의적인 사이버 공격에 의한 데이터 유출 사례는 42%에서 51%로 증가하면서 위협이 확대되고 있다.

한국기업의 경우 데이터 유출로 인해 기업별로 전년(31억 원) 대비 약 13% 증가한 35억원의 금전적인 피해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또 평균적으로 한 사람이 유실 또는 탈취당한 데이터 1건의 피해액이 전년(14만9500원) 대비 약 9.92% 증가한 16만5100원으로 나타났다.

데이터 1건당 피해액이 가장 높게 집계된 산업은 기술 산업 분야로 1인당 24만5577원을 기록했다. 금융업(21만7334원), 서비스업(21만6955원), 운송업(18만5226원) 등이 뒤를 이었다. 공공 분야는 가장 낮은 1인당 9만4776원을 기록했다.

보고서는 올해부터 데이터 유출로 인한 기업들의 장기간 재무적 피해도 분석했다. 데이터 유출로 인한 기업의 금전적인 피해는 수년간 지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생 비용 중 평균 67%가 첫해에, 22%가 그 다음 해에, 나머지 11%는 피해 발생 이후 2년이 지난 후에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2년 차와 3년 차에 발생한 장기 비용은 헬스케어, 금융서비스, 에너지, 제약 등 규제가 강한 업종의 기업에서 더욱 높게 나타났다.

IBM은 피해 규모를 가장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요소로 기업의 사건대응 역량을 강조했다.

데이터 유출 사건의 평균 수명 주기는 총 279일로, 기업이 데이터 유출 사실을 탐지하는데 206일, 이를 차단하는 데 73일이 소요된다.

그러나 200일 이내에 유출 사실을 탐지하고 차단한 기업의 경우 전체 피해액을 평균 120만달러(약 14억원) 가량 낮출 수 있었다.

웬디 휘트모어 IBM 인텔리전스 서비스 부문 글로벌 총괄은 “사이버 범죄는 사이버 범죄자들에게 거액의 수익을 안겨주지만 기업에는 거액의 손실을 초래한다”면서 “기업은 데이터 침해가 기업의 수익성에 미치는 재무적 영향을 완벽하게 파악하고, 해당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