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KT, 5G 실감미디어 콘텐츠 오픈 플랫폼으로 생태계 만든다

월 8800원 정액 요금제 출시…VR디바이스도 제공

2019-07-01김태환 기자

1일 김훈배 KT 뉴미디어사업단장이 서울 종로구 광화문 KT스퀘어에서 열린 KT 슈퍼VR 출시 기자설명회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1일 김훈배 KT 뉴미디어사업단장이 서울 종로구 광화문 KT스퀘어에서 열린 KT 슈퍼VR 출시 기자설명회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KT가 5세대 이동통신(5G) 기반 실감형 콘텐츠를 육성하려고 오픈 플랫폼을 구축한다는 전략을 수립했다.

이를 위해 자체 VR 플랫폼을 구축해 소비자들과 접점을 늘리고, 콘텐츠 제작사들과 제휴를 기반으로 VR 콘텐츠를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KT가 1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KT스퀘어에서 4K 무선 VR 서비스 ‘KT 슈퍼VR(Super VR)’ 출시 기자설명회를 통해, 국내 대표 실감미디어 플랫폼 사업자로 성장하겠다고 밝혔다.

발표를 맡은 김훈배 KT 뉴미디어사업단장은 “한국 실감미디어 시장에서 경쟁사들은 콘텐츠 중심으로 서비스하지만 플랫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은 없다”면서 “5G 최초 상용화 국가답게 KT는 실감미디어를 발전시키려고 오픈 플랫폼 기반으로 VR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감미디어 플랫폼이 지닌 차별성으로 ‘개방형 플랫폼’과 ‘저렴한 VR단말기’를 꼽았다.

김훈배 사업단장은 “콘텐츠 개발사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고, 사용자들에게 이용료를 받아 콘텐츠를 사용한 만큼 콘텐츠 제공사에 수익을 배분하는 시스템을 갖출 것”이라며 “이렇게 하면 콘텐츠 제공사에게 기회를 제공해, 생태계가 확대되는 효과가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김 단장은 “아울러 기존의 착탈식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HMD) 단말기는 스마트폰에 장착하기가 불편했다. 폰 케이스를 벗겨야 하고, 보호필름을 붙여 화질에 악영향을 줬다”면서 “무엇보다도 VR HMD 자체가 고가 장비였다. 하지만 이번에 중국 피코(PICO)와 제휴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하드웨어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KT는 실감미디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4K 초고화질 개인형 실감미디어 서비스 ‘슈퍼VR’을 출시했다. 기존 ‘기가라이브TV’의 단말 사양을 업그레이드하고 콘텐츠 라인업을 강화했다는 게 KT 설명이다.

슈퍼VR은 피코 G2 단말을 사용한다. 과거 3K 단말 화소가 616ppi였지만 4K는 화소가 818ppi로 확대됐다. 아울러 렌즈를 개선해 눈부심 현상을 줄였으며, 안경 착용자를 위해 ‘글라스 서포터’를 추가했다.

콘텐츠는 국내 최다인 1만여편을 제공한다. 특히 4K 초고화질 콘텐츠 450여편, 게임 15종, IMAX 영화관 수준의 ‘와이드맥스(WideMax)’ 콘텐츠 245편을 감상할 수 있다. 해당 콘텐츠를 매달 추가로 업데이트해 소비자에게 더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게 할 예정이다. 기존 올레 tv 모바일 앱도 함께 탑재해 100여개의 실시간 채널과 18만편의 VOD도 함께 즐길 수 있다.

아울러 ‘멀티엔딩 VR’ 콘텐츠도 선보인다. VR 영화와 게임을 결합해 사용자들이 이야기 분기점을 선택(‘Yes’ or ‘No’처럼 선택지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다. 선택에 따라 결말이 달라진다.

이 밖에 아프리카TV와 협력한 e스포츠 멀티뷰 중계, 네이버 브이라이브(V LIVE)와 협력한 VR 전용 스타 콘텐츠, 이너테인먼트와 협력해 만든 아이돌 VR팬미팅 콘텐츠(바스타 라이브VR)도 제공한다.

슈퍼 VR은 월정액 요금제가 적용되며, 월 8800원이다. 단말기는 17% 가격할인을 적용해, 슈퍼VR 패스 6개월 이용권을 묶어 45만원에 판매한다.

김훈배 단장은 “KT는 슈퍼VR을 출시하며 IPTV에 이어 실감미디어 시장에서도 1등 사업자가 되기 위해 도전에 나섰다”며, “IPTV가 영상 콘텐츠를 즐기는 트렌드를 변화시켰듯 KT는 다양한 파트너들과 함께 고객들에게 차원이 다른 실감미디어 서비스를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김태환 테크엠 기자 kimthin@techm.kr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