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폭발과 화재 위험 없는 차세대 배터리 기술 개발…전기차 ESS 상용화 길 전고체전지 제조기술

배터리 부피 3분의 1로 줄여, 전기차 적용 시 주행거리 2배 향상 기대

2019-06-18박응서 기자

단위셀을 직렬로 10개 연결하여 제작한 바이폴라 구조의 37V, 8Wh 급 셀스택. 사진제공 생기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하 생기원)이 폭발과 화재 위험은 없고 부피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바이폴라 구조의 전고체전지 제조기술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전고체전지는 전지 내부 양극과 음극 사이에 있는 전해질을 액체에서 고체로 바꾼 차세대 이차전지다. 현재 상용화한 이차전지는 가연성 액체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이온전지로 과열이나 과충전하면 팽창해 폭발할 위험이 있다.

생기원 김호성 박사 연구팀이 개발한 전고체전지는 내열성과 내구성이 뛰어난 산화물계 고체전해질 소재를 사용해 폭발과 화재 위험이 없어 안전하다. 또 단위셀 여러 개가 한 셀스택 안에서 직렬로 연결되는 바이폴라 구조로 설계하고 제작해 고전압을 구현하는 데도 유리하다.

이에 따라 전기차 배터리 팩 부피를 약 3분의 1로 줄이면서도 주행거리는 2배 이상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연구팀은 산화물계인 가넷 LLZO(리튬·란타늄·지르코늄·산소) 소재를 사용한 고강도 복합고체전해질 시트 제조기술에 초점을 맞췄다. LLZO 소재는 전위창과 안전성이 뛰어나다. 하지만 제조공정 비용이 비싸고 이온전도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그동안 상용화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테일러반응기를 활용한 저가의 연속생산 공정을 도입해 LLZO 분말 생산비용을 최소화하고, 분말 입자를 나노화하는 데 성공했다.

나노급 LLZO 고체전해질 분말은 이종 원소(갈륨·알루미늄) 도핑에 의해 소결시간이 약 5배 이상 단축돼 비용을 크게 절감했고, 이온전도도는 세계 최고 수준인 1.75 x 10-3 S/㎝로 3배 이상 개선됐다.

이렇게 개발한 LLZO 분말을 소량의 고강도 이온전도성 바인더와 복합화해 약 50~60㎛ 두께의 복합고체전해질 시트로 제작했다. 이는 전고체전지의 부피 에너지밀도를 445 Wh/L 수준으로 향상시키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핵심기술이다. 나아가 연구팀은 전고체전지 단위셀 10개로 구성된 바이폴라 구조의 셀스택(37V, 8Wh 급)을 국내 최초로 제작해 상용화 가능성을 높였다.

제작한 셀스택은 대면적(11㎝ x 12㎝)의 파우치 외장재 형태이며, 과충전된 상태로 대기 중에서 가위로 절단했을 때도 발화나 폭발 현상이 나타나지 않아 안전성을 검증했다.

또한 셀스택에 사용된 단위셀은 400회 충방전 실험 결과 배터리 초기 용량의 약 84%를 유지, 종래 전고체전지보다 수명 특성도 5배 이상 개선됐다.

전고체전지의 구성 소재와 단위셀, 바이폴라 구조의 대면적 파우치셀. 사진제공 생기원

김호성 박사는 “최근 잇따른 신재생에너지 ESS 폭발과 화재로 배터리 안전성이 중요해지는 상황에서 국내 기술력으로 기존 전지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전고체전지 제조기술 확보에 성공했다”고 밝히며, “LLZO 소재 제조기술은 이미 국내 기업에 이전 완료했고, 올해부터는 셀스택 사업화에 착수해 조기 상용화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일본 후지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세계 전고체전지 시장은 2035년 약 28조원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박응서 테크엠 기자  gopoong@techm.kr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