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블록체인 가치·신뢰 제공하려면 작은 목표 달성부터 선행돼야”

한국과 우즈벡 블록체인 산업 활성화 컨퍼런스

2019-05-17김태환 기자

17일 김형주 한국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 이사장이 서울 논현동 헤리스컨벤션에서 열린 '2019 한국 우즈베키스탄 블록체인 산업 활성화 컨퍼런스' 인사말을 하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가치와 신뢰를 제공하려면 큰 목표보다 작은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는 주장이 나와 주목된다.

신뢰를 제공하려면 결국 행동으로 인한 이용자 만족으로 이어져야 하는데, 대다수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크고 복잡한 목표를 추진하다 지지부진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17일 한국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KBIPA)는 서울 논현동에 위치한 헤리스컨벤션에서 ‘2019 한국 우즈베키스탄 블록체인 산업 활성화’ 컨퍼런스를 개최하고 블록체인 산업에 대한 발전방안에 대해 점검했다.

이 자리에서 권수호 한국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 교육 센터장은 ‘블록체인의 가치와 신뢰’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권수호 협회 센터장은 “가치는 인간 욕구나 관심의 대상이나 목표가 되는 것이며, 신뢰는 굳게 믿고 의지하는 마음인데, 행동을 해야 신뢰가 발생한다”면서 “따라서 신뢰는 행위의 결과를 검증하는 것이며, 기업에 대한 신뢰성 확보는 영리목적을 달성했는지에 대한 결과를 검증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권수호 센터장은 “블록체인 프로젝트 백서는 쓸모있고 중요하며 목표가 명확한 가치를 추구해야 하는데, 일부 백서는 현학적인 문구와 거물 어드바이저, 훌륭한 파트너와 같은 치장에만 집중하고 있다”면서 “백서에서 현학적 문구는 사람들이 관심이 없으며, 어드바이저와 과거 개발 경력으로는 결과물을 보증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권 센터장은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성공하려면 이용자를 만족시킨다는 목표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그는 “프로젝트 만족 대상은 이용자, 경영진, 개발자, 개인투자자, 채굴자, 거래소, 클라우드 운영자 같이 다양한 사람들이 있지만 가장 핵심으로 만족시켜야 하는 대상은 이용자”라며 “이용자가 만족하고 사업이 확장돼야 이익이 나온다”고 설명했다.

권 센터장은 “그런데 일부 프로젝트들은 ‘앞으로 서비스를 이렇게 하겠다나 할 예정이다’라고 하면서 이용자를 제일 마지막에 만족시키려 한다”면서 “가치라는 것은 행동이 없으면 만들어지지 않는데, 말과 계확만 앞서고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으니 실패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행동을 하려면 결국 실질적인 비즈니스가 필요하고, 단기적인 목표부터 우선 시행하는 게 우선이라고 권 센터장은 강조했다.

그는 “작년 5월 기준으로 세계에서 8만개 프로젝트가 시작했지만 살아남은 것은 단 8%에 불과했고, 나머지 92%는 모두 사장됐다”면서 “제대로 된 목표가 없고, 말이 앞서고, 액션을 취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권수호 센터장은 “목표는 거대해도 실행을 할 수 있을만큼 작게 소기의 목표를 잡고 달성해나가야 하며, 중간 중간 결과물의 가치를 반복해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도 마련해야 한다”면서 “자전거를 먼저 만들어 본 뒤에 오토바이와 자동차로 키워 나가야지 시작부터 당장 자동차를 만드려면 어렵다. 큰 목표를 이루려고 ‘하는 척’ 하지 말고 실제로 작은 목표부터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그는 “이렇게 하면 실패를 해도 작게 실패하기에 성공 가능성이 높아진다”면서 “다시 수정하고 만들어 나가는 게 훨씬 수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컨퍼런스에서는 우즈베키스탄의 디지털 이코노미 정책에 대한 설명도 이어졌다.

우즈벡은 대통령 직속 국가프로젝트 관리위원회를 설치하고, 블록체인을 비롯한 ICT 기술을 도입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우즈벡 관리위원회는 “국가 정보 시스템을 구축해 실시간으로 운영하고 투자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이 모든 과정에서 효율성과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이 목표”라며 “이를 위해 국가기관과 기업조직이 시스템을 제대로 활용하도록 도움 주고, 교육 프로그램으로 직원 역량 개발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위원회는 “또 디지털 경제 참여를 활성화하려고 암호화 자산 구현, 채굴, 스마트계약, 블록체인 관련 프로젝트를 도입하고 구축할 것”이라며 “전문가들을 초빙해 외부기업 조직들과 함께 암호자산이나 블록체인 관련 협력도 진행한다”고 밝혔다.

 

김태환 테크엠 기자 kimthin@techm.kr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