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특허청, AI 기반 지능형 특허넷 구축…특허 출원 편리해진다

특허청, 차세대 스마트 특허넷 구축 5개년 계획 추진

2019-03-14곽예하 기자

 

특허청은 AI가 도형상표의 특징을 자동으로 추출하고 분석 해 심사관에게 추천하는 도형상표 검색시스템 구축한다. (출처: 특허청)

특허청이 올해부터 5년에 걸쳐 인공지능(AI) 같은 최신 지능정보기술을 적용한 특허 정보시스템인 ‘차세대 스마트 특허넷’ 구축을 추진한다. 특허넷은 산업재산권 출원과 심사, 심판, 등록, 공보 발간 같은 특허행정업무 전반을 전산화한 종합정보시스템이다.

특허청은 특허행정 품질과 효율성, 대민서비스 편의성을 혁신적으로 높이기 위해 특허넷을 AI 기반 지능형 시스템으로 세대 교체하는 것이라고 14일 설명했다.

올해는 4월부터 98억원을 들어 AI 기계번역시스템을 구축하고, 전자출원서비스를 사용자 친화형으로 개선하며, 컴퓨팅 성능을 향상하는 사업을 시작한다.

특허청에 따르면 특허 심사 때 검색해야 하는 국내외 선행기술 문헌이 급격히 늘면서 현재 특허넷으로는 신속하고 정확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부담이 큰 상태다.

이에 특허청은 심사관들이 문자뿐 아니라 이미지와 도면, 화학구조식 등으로 구성된 선행문헌을 더 정확하게 찾을 수 있도록 AI 검색시스템을 구축한다고 밝혔다.

또 심사관들이 언어장벽 없이 세계 선행문헌을 폭넓고 정확하게 검색 할 수 있도록 수준 높은 AI 기계번역 서비스로 전환한다.

나아가 국민들이 상담원 근무시간에 상관없이 365일 24시간 신속하고 편리하게 상담 받을 수 있는 AI 상담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국민이 특허와 상표 같은 출원을 손쉽게 하기 위한 전자출원서비스도 개선한다. 특허청은 스마트폰으로 언제 어디서나 특허나 상표 등을 출원하고 진행 경과를 조회하며, 수수료 납부도 가능한 모바일 전자출원서비스를 구축할 예정이다.

또 공인인증서 외에 지문, 홍채, 이메일 같은 다양한 정부표준인증체계를 전자출원서비스에 적용해 접속 편의성을 높인다.

뿐만 아니라 국민이 간소화한 서식으로 편리하게 출원할 수 있도록 전자출원서비스를 웹 기반 시스템으로 재구축하고, 출원서 작성 때 선행기술 존재 여부와 각종 오류를 자동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허청은 365일 24시간 언제 어디서든 국민들이 신속하게 상담 받을 수 있는 AI 챗봇 상담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출처: 특허청)

특허청은 또 지식재산정보 서비스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노력도 이어간다. 관련기업이 AI 기반 고부가가치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활용가치가 높은 기계번역 학습데이터, 특허도면부호, 상표 이미지 특성정보 등을 가공 및 구축해 민간과 공유할 예정이다.

사용자가 온라인에서 다양한 데이터를 직접 검색하고 원하는 형태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지식재산 보급서비스 플랫폼(KIPRIS PLUS)도 고도화한다.

나아가 민간에서 개발한 최신 기술과 공개 소프트웨어를 시스템에 바로 적용해 활용할 수 있도록 특허넷을 개방형 구조로 전환하고, 방대한 데이터의 고속처리가 요구되는 AI 학습, 빅데이터 분석 등을 원활하게 지원할 수 있도록 전산 자원을 고속컴퓨팅 환경으로 구축한다.

문삼섭 정보고객지원국장은 “차세대 스마트 특허넷은 특허 행정서비스를 국민이 체감할 수 있게 혁신하고, 우리나라가 지식재산 강국으로서 경쟁력을 공고히 할 수 있는 핵심 인프라”라며, “시스템 혁신이 특허 행정서비스 혁신으로 이어지고, 대한민국이 지식재산 선진국으로 도약하는 계기로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테크M=곽예하 기자 (yeha1798@techm.kr)]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