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ETRI, 조절 쉽고 고속 촬영 가능한 캡슐내시경 개발…중국과 유럽 등 외국 시장 진출 모색

2019-03-14박응서 기자

ETRI와 공동연구진이 개발한 인체통신기반 캡슐내시경. 사진제공 ETRI

국내 연구진이 인체통신기술로 소화기 질환에서 54% 정도 차지하는 식도와 위를 효과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캡슐내시경을 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인체통신기술을 활용해 기존 영상전송속도보다 4배 빠른 초당 24장을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는 캡슐내시경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ETRI는 사람 몸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인바디 인체통신기술을 이용해 고속으로 데이터를 전송해 식도처럼 캡슐이 빠르게 지나가는 구간에서도 자세하게 관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빠르게 내려가더라도 많은 부분을 한 번에 촬영할 수 있어 기존 제품 한계를 극복했다는 설명이다.

캡슐은 1cm x 3.1cm 크기로 송신기 역할을 하며, 내부에 LED 램프, 두 개 전후방카메라, 코인형 배터리, 자석 등으로 구성돼 있다.

의사가 수신기를 보면서 자석이 내장된 캡슐을 몸 밖에서 마그네틱 컨트롤러로 조절할 수 있다. 자유롭게 캡슐 자세를 바꾸거나 위벽에 캡슐을 머무르게 만들어 더 자세하게 관찰할 수 있다. 특히 기존 유선내시경은 재사용에 의한 교차감염과 이물감이나 공기주입으로 인한 복부 불편감, 구역질이나 트림으로 검진이 어려웠는데, 캡슐내시경은 이런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앞으로 연구진은 기술을 더욱 발전시켜 식도와 위, 십이지장, 소장, 대장 같은 소화기관 전체를 검진할 수 있는 기술과 제품 개발에 주력할 계획이다.

캡슐내시경 시장은 현재 북미와 유럽 같은 선진국에서 약 64%를 점유한 가운데 최근 중국에서 수요가 급격히 늘고 있다. 시장 규모는 2018년 기준 7424억원에서 2022년까지 1조595억원 규모로 연 평균 9.3% 성장이 예상된다.

연구진은 협력 기업과 함께 상부위장관용 캡슐내시경을 위장질환의 발병률이 가장 높은 중국과 식도 질환 발병률이 높은 영국과 유럽에 우선 진출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이번에 ETRI는 인트로메딕과 공동연구를 진행해 인체통신 기반 고해상도 캡슐내시경 시제품 개발에 성공했다. ETRI는 인바디 인체통신 원천기술을 지난해 7월 인트로메딕에 기술 이전했다.

ETRI의 SoC설계연구그룹 박형일 과제책임자는“식도와 위장 부분에 대한 검사를 더 정확하고 편안하게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렸다”며 “세계 상용제품과 비교해도 위치 제어와 데이터 전송에서 경쟁력이 높다”고 말했다.

인트로메딕 이병석 연구소장은 “내년까지 시스템 검증과 품목 허가용 인증시험을 완료해 사업화에 본격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ETRI는 이 기술을 MWC2019에서 전시해 글로벌 기업으로부터 큰 호응과 관심을 받았다.

 

[테크M = 박응서 기자(gopoong@techm.kr)]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