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LGU+, AI로 장애인 생활편의 돕는다

장애인 콜택시 호출과 교통약자용 지하철정보 확인 AI서비스 먼저 선보여

2019-03-05곽예하 기자

LG유플러스는 척수장애인 및 중증 지체장애인의 생활편의 지원을 위한 인공지능(AI) 서비스를 5일부터 선보인다고 밝혔다. (출처: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가 척수장애인과 중증 지체장애인 생활편의를 지원하는 인공지능(AI) 서비스를 5일부터 선보인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는 ‘장애인 콜택시 호출’과 ‘교통약자용 지하철정보 확인’ AI서비스를 먼저 선보일 예정이다. 또 추후에 위급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 ‘119 문자신고 서비스’도 출시 예정이다.

장애인 콜택시 호출 서비스는 네이버 클로바 앱의 ‘스킬 스토어’ 메뉴에서 계정을 연동한 뒤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서울시설공단 장애인 콜택시 앱에서 사용 중인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된다.

사용자는 콜택시 호출 서비스를 통해 음성명령으로 간편하게 서울시설공단 장애인 콜택시를 부를 수 있다. 이 서비스는 네이버 AI 플랫폼 클로바가 탑재된 스마트홈 서비스 ‘U+우리집AI’와 클로바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에서 이용할 수 있다.

지하철 역사 내 교통약자 편의시설 정보도 음성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편의시설 정보는 서울교통공사와 제휴를 맺고 제공한다.

예를 들어 클로바 플랫폼을 탑재한 AI스피커에 “클로바, 지하철정보에서 신용산역 알려줘”라고 말하면 수도권 1~9호선 역사 내 지상 엘리베이터 위치와 작동 여부, 장애인 화장실 위치, 전동휠체어 급속 충전기 위치를 알려준다.

이후 출시 예정인 119 문자신고는 응급상황 시 AI스피커와 네이버 클로바 앱으로 “119 신고해줘”라고 말하면 소방청과 보호자에게 신고 메시지가 전달돼 위급 상황을 빠르게 알릴 수 있는 서비스다.

최원혁 LG유플러스 AIoT상품2담당은 “지체장애인이 일상생활에서 불편한 점에 대한 설문조사를 했더니 주로 이동과 위급상황 대처에서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며 “이런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음성으로 간단히 이용할 수 있는 지체장애인 전용 AI서비스를 기획했다”고 개발배경을 설명했다.

한편 LG유플러스는 더 많은 지체장애인이 AI스피커를 활용해 편리하고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서울시설공단과 함께 AI스피커 보급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지원 대상은 장애인콜택시 회원 300명이다. 장애 정도와 콜택시 이용 빈도 등을 고려해 선정한다. 신청은 22일까지 서울시설공단 홈페이지를 참조해 접수하면 된다.

 

[테크M=곽예하 기자(yeha1798@techm.kr)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