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스마트폰으로 자동차 운행까지…공유 자동차 시대 열렸다

현대·기아차, 디지털 키 신차부터 적용, 운전자 포함 4명까지 공유 가능

2019-03-05김승교 기자

스마트폰만으로 자동차 출입과 시동, 운행할 수 있는 공유 자동차 시대가 열렸다.

현대·기아차는 4일 공유 자동차의 핵심 기술 중 하나로 꼽히는 ‘스마트폰 기반 디지털 키’를 향후 출시되는 신차부터 순차적으로 적용한다고 밝혔다.

디지털 키는 스마트폰과 자동차 간의 근거리 무선통신(NFC) 및 저전력 블루투스(BLE) 통신을 활용해 기존 자동차 스마트키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핵심 기술이다.

디지털 키는 스마트폰을 운전석 또는 동반석 외부 도어핸들에 접촉하면 문을 잠그거나 열 수 있고, 차량 내 무선 충전기에 스마트폰을 올려놓고 시동 버튼을 누르면 시동이 걸리고 운행이 가능하다.

디지털 키를 활용하면 차량을 원격 제어할 수도 있다. 스마트폰 앱과 차량이 연결되면 앱에 차량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버튼이 활성화 된다.

사용자는 이를 통해 수 미터 내에서 차량의 시동, 도어와 트렁크를 원격 잠금·해제, 비상 경보 작동 등을 할 수 있다.

디지털 키는 타인에게 공유 가능한 것도 특징이다. 자동차 소유주를 포함해 최대 4명까지 키를 공유할 수 있다.

공동 사용자는 자동차 소유주의 인가에 따라 디지털 키를 스마트폰 앱에 다운 받아서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차량 소유주는 키를 공유할 때 사용 기간 또는 특정 기능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한적 공유도 가능하다.

발레파킹이나 정비소 등 디지털 키를 공유하기 애매한 상황이나 디지털 키가 불편한 사용자를 위해 신용카드 크기의 카드 키와 기존 스마트 키도 따로 제공된다.

일정 속도를 넘어가거나 특정 지역을 벗어나면 원 소유자에게 알림이 뜨도록 각각의 디지털 키를 설정하는 기능도 추가될 예정이다.

현대차·기아차가 개발한 디지털 키는 탑승 시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판단하고 미리 설정해놓은 아웃사이드미러, 운전석과 운전대 위치, 전방표시장치(HUD) 및 AVN 설정 등이 자동 변경되는 차량 개인화 프로필이 적용돼 운전자들의 편의를 한층 향상시켰다.

향후 공유 자동차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면 자동차 대여자와 수여자가 직접 만날 필요 없이 스마트폰 앱을 통해 디지털 키를 주고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화 프로필 적용, 주차 위치 확인 등이 가능해 편리하게 서비스 이용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디지털 키 기술은 차량과 스마트폰 연결을 통한 커넥티드 기술의 첫 걸음으로 자동차 이용의 편의성과 다양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고객의 입장에서 와이파이, 초광대역통신(UWB) 등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은 물론 생체인식 등 다양한 ICT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머니투데이방송 MTN = 김승교 기자 (kimsk@mtn.co.kr)]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