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AI 음성인식 기기 만족도 54%로 높아…자연어 처리능력 향상 덕분

어도비 애널리틱스 보이스 리포트 “음성 기능 사용 확산될 것”

2019-02-27김태환 기자

 미국 소비자들 절반이 인공지능(AI) 기반 음성인식 제품(스마트폰, AI 스피커) 기능에 만족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하루 1회 이상 이용하는 소비자는 41%, 별도 입력기능이 아니라 음성인식을 더 자주 사용하는 비율은 32%로 조사됐다.

27일 어도비는 18세 이상 미국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기기 음성 활용에 대해 진행한 설문 조사를 분석한 ‘어도비 애널리틱스: 2019 보이스 리포트’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 41%는 기기를 사용하거나 인터넷을 연결할 때 키보드 대신 음성 기능을 하루 1회 이상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6개월 전 응답자(37%)보다 11% 증가한 수치다.

또 응답자 32%는 키보드보다 음성을 더 자주 사용한다고 답했으며, 28%는 음성과 키보드 기능을 같은 비율로 사용한다고 대답했다.

어도비는 인공지능(AI)과 자연어 처리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각종 기기에서 음성을 본격적으로 활용하고 있고, 이에 따라 소비자 만족도도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실제 음성 비서 기능에 만족한다고 답한 비율은 54%, 음성 비서 기능에 불편을 겪는 소비자는 5%에 불과했다.

어도비가 보이스 리포트를 처음 발간한 2017년 6월에는 음성 비서 작동 수준이 ‘보통 이하’라고 답한 비율이 무려 35%였음을 감안하면 기능 만족도가 매우 높아진 셈이다.

음성 비서 기능에 대한 기기별 선호도는 스마트폰(47%)과 스마트 스피커(31%)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 외에 자동차 8%, 태블릿PC 7%, 노트북 5%, 웨어러블 기기 3% 순으로 조사됐다.

음성 광고에 대한 소비자 거부감은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 응답자 25%는 스마트 스피커를 통해 광고를 들어본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이 중 38%는 음성 광고가 TV, 신문, 온라인, 소셜미디어보다 덜 거슬린다고 답했다.

이는 음악이나 팟캐스트 같이 오디오로 청취하는 정보의 경우 본질적으로 청취자 특성에 맞춰진 것이라 거부감이 낮고 수용도가 높기 때문으로 보인다.

음성 기능에 대한 기기별 소비자 관심도는 TV 42%, 자동차 29%, 온도조절장치 29%, 조명 28%이 높았다.

스마트 스피커 보급도 빨라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 36%는 현재 스마트 스피커를 갖고 있다고 답했다. 이는 6개월 전에 조사한 32%보다 14% 증가한 수치다. 스마트 스피커 보유 소비자 중 75%는 하루 1회 이상 사용하고 있었다.

한편 소비자들은 음악 감상(74%)을 위해 스마트 스피커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 다음으로 날씨(66%), 재미있는 질문(58%), 알람과 일정 알림(49%), 뉴스(44%), 온라인 검색(42%)이 뒤를 이었다.

콜린 모리스 어도비 애널리틱스 담당 이사는 “음성이 컴퓨팅 플랫폼으로 발전하려면 10년 전 스마트폰처럼 건강한 기능 생태계가 구축돼야 한다”며 “단발성이 아닌 매일 사용하는 기능으로 발전하려면 기능 단순화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테크M=김태환 기자(kimthin@techm.kr)]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