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2019년 국내 위치정보산업 시장 규모 1조2546억원 전망", KISA 발표

2018 국내 위치정보산업 동향조사 결과

2019-02-15박응서 기자

올해 국내 위치정보산업 시장 규모가 1조2546억원으로 예상된다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4차산업혁명 시대 융·복합 핵심 자원인 위치정보산업의 국내 규모와 사업 현황을 파악해 ‘2018년 국내 위치정보산업 동향조사’ 결과를 15일 발표했다.

KISA는 2018년 7월 기준 방송통신위원회에 허가·신고된 930개 위치정보사업자를 대상으로 2018년 8월부터 10월까지 온라인과 방문, 전화, 이메일을 이용한 설문 방식으로 ‘2018년 국내 위치정보산업 동향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국내 위치정보산업 매출 규모는 2018년 1조233억원으로 조사됐다. 그리고 올해는 1조2546억원으로 지난해보다 23%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서비스·콘텐츠 부문별 매출액은 ‘대인·대물 위치추적과 관제서비스’가 3356억원(32.8%), ‘위치데이터 제공’이 1760억원(17.2%) 순으로 나타났다. 매출 증가율은 ‘빅데이터 분석서비스’가 지난해보다 29.9%로 가장 큰 폭으로 늘었으며, ‘광고마케팅과 상거래서비스’가 27.4% 늘어 그 뒤를 이었다.

또 국내 위치정보산업에서 발전 가능성이 높은 분야로 응답자 59.8%는 ‘서비스와 콘텐츠 산업’을 선택했다. 앞으로 가장 활성화될 서비스에 대해서는 57.1%가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으로 답했다. 아울러 위치정보서비스가 새롭게 적용될 분야로는 38%가 ‘광고/마케팅’을, 32.1%가 차세대 단말을 활용한 ‘교통’ 분야를 꼽았다.

한편 국내 위치정보 사업자 애로사항으로 응답자 30.4%는 ‘법·제도적 규제’를, 26.2%는 ‘자금 확보’라고 답했다. 가장 필요한 정부 지원으로 응답자 35.8%가 ‘우수 비즈니스 모델 발굴과 지원’을, 35%가 ‘공공 위치기반 인프라 조성’을 꼽았다.

KISA 채승완 데이터안전활용지원단장은 “인터넷진흥원은 위치정보산업 활성화를 위해 위치정보사업자 진입 규제완화 같은 제도 개선 지원뿐만 아니라 기업 맞춤형 컨설팅, 우수 스타트업 해외 전시회, 클라우드 기반 인프라 확대 같은 지원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2018년 국내 위치정보산업 동향조사 보고서’ 원문은 KISA 누리집에서 누구나 무료로 내려받을 수 있다.

[테크M = 박응서 기자(gopoong@techm.kr)]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