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한국형 스마트시티 생긴다…대전,김해,부천 3곳 선정

2019년 ‘테마형 특화단지 조성사업’ 지원 대상지 선정 3곳…총 120억 원 규모

2019-02-08곽예하 기자

국토교통부가 2019년 ‘테마형 특화단지 조성사업’ 지원 대상지로 대전광역시와 경상남도 김해시, 그리고 경기도 부천시 3곳을 선정했다고 8일 밝혔다.

테마형 특화단지 조성사업은 기존 도시에 다양한 스마트 서비스를 적용해 교통, 에너지, 방범 같은 분야에서 생활편의를 개선하는 사업이다. 지역 고유 경쟁력을 강화해 스마트도시 우수사례 창출을 지원한다.

선정된 지자체 3곳에는 스마트서비스 조성을 위해 지자체별로 20억원씩 총 60억원에 달하는 국비를 지원한다. 지자체는 지원받는 국비와 동일 규모로 지방비를 분담함으로써 총 120억원 규모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에 선정된 지자체들은 지역 내 기성 시가지 특성에 적합한 스마트도시 서비스 활용계획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다양한 유형의 한국형 스마트도시 모델이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대전광역시는 노후된 대덕연구개발특구 일대를 중심으로 생활형 스마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리뉴(Re-New) 과학마을’ 조성을 추진한다.

KAIST에서 개발한 무선충전 전기버스를 도입해 대중교통 노선을 신설하고, 냉난방과 각종 편의시설을 적용하는 버스쉼터를 설치한다. 탄동천 주변으로는 안전한 시민쉼터 조성을 위해 범죄예방 기능을 강화한 스마트가로등을 설치할 계획이다.

앞으로 연구기관 간 협력체계를 발전시켜 오픈플랫폼 형태로 통합관리센터를 구축할 예정이다. 연구시설 공유, 연구협업 등을 촉진해 세계적인 연구단지로 거듭나고자 하는 목표다.

김해시는 가야문화를 주제로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 그리고 홀로그램 등을 활용한 역사체험을 진행한다. 또 관광객을 위해 스마트 모빌리티를 구축하고, 새로운 지역 관광산업을 발굴하는 ‘고고(GO古) 가야 스마트 관광 서비스’를 진행할 계획이다.

특히 김해시는 사업대상지 전역에 130여 개 공공와이파이를 설치해 관광객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공공와이파이 활용 정보를 분석하는 스마트서비스를 제안했다. 이를 통해 관광시설별 유동인구 등 관련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정책 개선과 골목상권 활성화 등에 활용한다는 설명이다.

부천시는 빅데이터 분석과 미세먼지 저감서비스를 연계한 ‘미세먼지 클린 특화단지’ 사업을 제안했다. 시민 생활권별로 미세먼지 측정소를 설치하고, 수집한 정보를 인공지능(AI)으로 분석해 미세먼지 대책 수립에 활용하겠다는 계획이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테마형 특화단지 사업 지원을 통해 2021년까지 총 12개 지자체에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정희 국토교통부 도시경제과 과장은 “종합계획 수립과정을 통해 발굴한 다양한 스마트도시 서비스를 실제 조성까지 연계함으로써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우수사례를 창출하고, 한국형 스마트도시 확산에 도움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테크M=곽예하 기자(yeha1798@techm.kr)]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