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SK텔레콤 양자암호통신 기술 2건 국제표준화 과제 채택

2019-02-07김태환 기자

 SK텔레콤은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ITU-T 회의에서 제안한 양자암호통신 관련 신기술 2건이 국제표준화 과제로 채택됐다고 7일 밝혔다.

ITU는 국제전기통신연합으로 세계 최고 국제기구다. ITU-T는 국제전기통신연합에서 전기통신표준화 부문을 뜻한다. 국제표준화 과제로 채택된 기술은 ITU-T 내 수십여 개 국가와 논의를 거친 뒤 글로벌 표준으로 자리잡는다.

이번 회의에 채택된 SK텔레콤 신기술은 ▲통신망에서 양자키 분배 활용을 위한 시스템 ▲양자키 분배를 위한 기존 암호화 체계 활용 방법 2가지다.

두 기술은 통신망에서 양자키 분배 시스템 운용에 필요한 사항을 정의했으며, 기존 암호화 장비에 양자키를 제공해 보안 시스템을 구성하는 방법을 정의했다. 둘 다 통신망에 양자암호를 적용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핵심 기술이다.

또 SK텔레콤은 지난 9월 ITU-T에서 국제표준화 과제로 채택된 ▲통신망에서 양자키 분배를 위한 보안 프레임워크 ▲양자 난수발생기 보안구조 기술이 최종 표준으로 반영될 내용을 발표해 승인 받았다.

이번에 국제표준화 과제 2건을 추가 채택 받음에 따라 SK텔레콤은 ITU-T에서만 총 4건의 양자암호기술 관련 국제표준화 과제를 수행하게 됐다. 양자암호통신 국제표준화 과제를 4건 이상 수행하는 기업은 세계에서 SK텔레콤이 유일하다.

한편 SK텔레콤은 미국과 중국 같은 세계 통신 강국들이 참여한 ITU-T 회의에서 양자암호기술관련 워크샵과 실무 회의를 주재하는 등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양자암호기술 표준화를 위한 실무 회의 의장단으로 위촉돼 글로벌 양자 리더십을 다시 한 번 인정 받았다.

이번 성과는 SK텔레콤이 양자암호통신 기술 고도화를 위해 오랜 시간 노력한 결과다. SK텔레콤은 지난 2016년 세계 최초로 세종-대전 간 LTE 백홀에 양자암호통신을 실제 적용했으며, 2017년에는 세계에서 가장 작은 크기(5x5mm)의 양자난수생성기(QRNG) 칩을 개발했다. 작년에는 세계 1위 양자암호통신 기업 IDQ를 인수하기도 했다.

아울러 SK텔레콤은 한국을 대표해 중소기업과 손잡고 양자암호통신 생태계를 개척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난 2013년 국내 최초로 양자암호통신 연구기관 ‘퀀텀정보통신연구조합’ 설립을 이끌었으며, 조합 내 총 15개 회원사 중 12곳은 중소기업이다. SK텔레콤은 중소기업과 함께 양자암호통신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국가 경제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박진효 SK텔레콤 ICT기술센터장은 “양자암호통신 글로벌 표준화 과제를 가장 많이 수행한다는 것은 SK텔레콤 기술력이 세계에서 인정 받은 것”이라며 “앞으로 글로벌 표준 개발과 생태계 확대에 앞장 서 양자 리더십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테크M=김태환 기자(kimthin@techm.kr)]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