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다양한 산업용 전기차 제작할 수 있는 전기차 전용 플랫폼 개발

생기연, ‘가변 아키텍처 전기차 플랫폼’ 발표

2019-01-30박응서 기자

가변 아키텍처 전기차 플랫폼으로 제작한 시제품. 사진제공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국내 연구진이 다양한 산업용 전기차 생산에 활용할 수 있는 전기차 전용 플랫폼을 개발해, 앞으로 다양한 형태의 전기차를 만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30일 전기차 플랫폼 하나로 셔틀과 물류차, 청소차 같은 다양한 종류의 산업용 전기차를 제작할 수 있는 ‘가변 아키텍처 전기차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은 전기차가 배터리를 비롯해 내연기관 차량과 크게 달라, 내연기관 플랫폼을 활용하는데 한계가 크다는 점에 착안해 연구에 나섰다.

서남지역본부 EV부품소재그룹 차현록 그룹장 팀이 개발한 전기차 플랫폼은 차량 앞바퀴 차축과 뒷바퀴 차축 간 거리인 휠베이스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가변 구조다. 휠베이스를 늘이면 탑재할 수 있는 배터리 용량도 늘어 주행거리도 늘어난다.

무엇보다 이번에 개발한 플랫폼은 수요자가 차량 용도나 주행거리, 차량가격을 고려해 다양한 형태로 소량 전기차를 제작할 수 있다. 제조공정도 단순해 생산비용도 절감된다.

연구팀은 전기차 필수부품이지만 이전까지 단품으로만 제작되던 모터와 인버터, 감속기를 하나로 통합한 일체형 구동모듈도 개발했다. 구동모듈은 한 공간에 배치할 수 있어 공간 확보에 유리하다. 또 양쪽에 모터를 장착할 수 있어 최대 120㎾ 출력을 낼 수 있다.

연구팀은 개발한 전기차 플랫폼에 레벨3급 자율주행 기술을 접목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올해 안에 노인 유동인구가 전남대병원과 노인복지관을 왕복하는 2.9㎞ 코스에서 자율주행 차량을 시범 운행할 계획이다.

가변형 플랫폼으로 만드는 자율주행 전기차는 다품종 소량생산에 유리해 정해진 경로를 시속 30㎞ 미만으로 서행하는 무인 셔틀버스, 청소차량, 택배차량에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차현록 그룹장은 “가변 아키텍처 전기차 플랫폼을 상용화하고자 대경전기차협동조합과 함께 농업용 전기차 사업을 추진 중”이라며, “앞으로 중소기업이 주도하는 전기차 산업 생태계 기반 구축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대경전기차협동조합은 2018년 12월 서남권 지역 내 11개 중소기업이 힘을 합쳐 설립한 단체다.

 

[테크M = 박응서 기자(gopoong@techm.kr)]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