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SK텔레콤, “5G로 무단횡단 경고하고 응급차 길 열어준다”

SKT-서울시, 2020년까지 5G 기반 첨단 교통인프라 구축

2019-01-17김태환 기자

조만간 서울에 5G 이동통신망을 활용한 무단횡단 경고, 응급차 길 열어주기 같은 교통체계가 도입될 것으로 보인다.

SK텔레콤은 서울시와 차세대 지능형교통시스템(이하 C-ITS, Cooperative-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실증 사업을 추진한다고 17일 밝혔다.

‘서울시 C-ITS’ 사업은 5G, 차량용 통신기술 같은 첨단 교통 인프라 구축을 통해 더 안전한 교통체계를 만드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사업은 ▲서울 주요도로에 5G 센서·IoT 구축 ▲버스·택시 등에 5G 차량통신 단말 보급 ▲데이터 수집과 안전정보 전달을 위한 5G관제센터 마련 ▲미래 교통수단인 자율주행차 테스트베드 조성 등을 포함한다.

사업기간은 2020년까지며, 사업비는 약 254억원이다. 대상은 경부고속도로와 강남대로, 경인마포로, 통일로 같은 간선급행버스(BRT) 노선과 도시고속도로 121.4km 구간이다.

이번 사업을 위해 SK텔레콤은 버스전용차선과 자동차전용도로 같은 주요 도로에 5G인프라를 설치한다. 또 5G 단일 사업으로는 최대인 차량용 5G단말 2000여대를 버스와 택시, 교통신호제어기 등에 공급한다. 5G V2X 기지국과 단말은 삼성전자와 공동으로 개발해 공급할 예정이다.

5G 버스와 택시는 정류장 단말기와 신호등 같은 교통 인프라 장치와 수시로 대화하며, 데이터를 수집한다. SKT와 서울시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위험 상황을 파악 뒤 5G 차량에 경고를 전달한다. T맵을 통해 일반 차량에도 교통 정보를 전달해 교통 사고를 줄인다.

5G는 LTE보다 10배 빠른 응답 속도를 자랑한다. 이를 활용하면 전 과정이 0.01초 내로 이뤄져, 운전자들이 더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시속 100km 자동차가 5G로 위험을 감지할 때까지 이동 거리는 28cm에 불과하다. LTE는 10배인 2.8m를 지나서야 위험을 전달 받는다.

특히 5G 기반 미래형 교통 체계를 구축하면 30여 가지 새로운 안전 서비스를 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G는 도로에 설치된 감지기를 통해 무단 횡단하는 보행자를 주변 차량에 경고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SKT 5G는 응급 차량 접근을 앞서가는 차량에 알려줘 길 터주기를 유도할 수 있다. 버스 승강장이 혼잡할 때는 진입 버스가 서행할 수 있도록 미리 알려주기도 한다.

아울러 2차 사고도 방지할 수 있다. 급커브로 앞이 안 보이는 지점에서 뒤따라오는 차에 사고를 미리 알려줘 다중 추돌 상황을 방지한다. 장마철 폭우로 인한 도로 파손(포트홀) 정보도 자동으로 감지해 해당 도로에 진입하는 운전자에게 정보를 미리 제공한다.

이와 함께 SK텔레콤과 서울시는 서울 마포구 상암DMC 일대에 자율주행차량을 시범 운행할 수 있는 대규모 자율주행 테스트베드를 올해 상반기에 조성한다. 테스트베드에는 자율주행차와 일반 차량이 함께 달린다.

DMC지하철역과 주요 건물을 오가는 SKT 자율주행 차량은 이르면 6월부터 운행 예정이다. 시민들이 자율주행차를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생긴다.

유영상 SK텔레콤 MNO사업부장은 “C-ITS 사업은 4차산업혁명 핵심인 5G, 자율주행, AI, 클라우드 같은 첨단기술을 융합한 미래 사업”이라며, “당사가 가진 글로벌 최고 기술을 총 동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테크M=김태환 기자(kimthin@techm.kr)]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