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독자기술 개발 기상관측 위성 '천리안2A호' 성공적 발사

태풍, 집중호우,폭설 ,안개, 황사 등 52종 기상정보 제공할 수 있어

2018-12-05곽예하 기자

국내 기술로 개발한 정지궤도 기상위성 ‘천리안2A호’가 5일 오전 5시37분 프랑스령 기아나의 기아나 우주센터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출처: arianespace)

국내 기술로 개발한 첫 정지궤도 기상관측 위성 ‘천리안2A호’가 5일 오전 5시37분(현지시각 4일 오후 5시37분) 프랑스령 기아나의 기아나 우주센터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에 따르면 천리안2A호 위성은 발사체인 아리안-5ECA에 실려 발사됐다. 발사 뒤 약 3분이 지나 위성을 보호하는 덮개인 페어링이 분리됐고, 25분 뒤 전이궤도에 진입했다. 전이궤도는 지구와 가깝게는 251㎞, 멀게는 3만5천822㎞인 지점을 잇는 타원궤도다.

이어 발사 약 34분 뒤에 발사체에서 위성이 분리됐으며, 이로부터 5분 뒤 호주 동가라(Dongara) 지상국과 첫 교신에 성공했다. 교신은 천리안2A호가 전이궤도에 무사히 안착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기에 중요하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이 공개한

이번 천리한2A호 발사는 지난 2011년 개발이 시작된 지 7년 6개월 만에 이뤄졌다. 천리안A2호는 6개월 정도 초기 운영 과정을 거친 뒤 내년 7월부터 고도화된 기상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천리안2A호는 고도 3만6000㎞에서 한반도 기상관측에만 전념한다. 이로써 기존에는 관측이 어려웠던 국지성 집중호우도 2시간 전에 예측할 수 있어 우리나라 기상예보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천리안2A호가 발사되면서 2010년 천리안1호 발사 이후 8년 만에 세대교체가 이뤄졌다. 천리안1호에 5개 기상센서가 탑재됐던 반면, 2A호에는 약 3배인 16개 채널이 장착됐다. 컬러영상도 천리안1호보다 4배 선명한 해상도로 제공한다. 또 관측 주기도 전지구관측이 기존 3시간에서 10분으로, 한반도 주변 관측은 15분에서 2분으로 단축됐다.

기존 천리안1호가 16종 기상정보를 산출할 수 있었다면, 천리안2A는 52종으로 다양화됐다. 천리안2A호는 16개 기상 채널을 통해 관측한 태풍, 집중호우,폭설 ,안개, 황사, 산불, 오존 같은 국민생활과 더욱 밀접한 기상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나아가 태양 흑점 폭발 같은 우주기상 관측 정보도 받을 수 있다.

천리안2A호는 천리안1호에 비해 약 3배이상의 기상채널을 가지고 있으며, 4배 선명한 해상도로 영상을 제공한다. (출처: 과기정통부 공식 홈페이지)

한편 천리안2A호는 지난 2011년 7월부터 항우연과 한국항공우주산업, AP우주항공, 경희대 등이 참여해 개발했다. 앞으로 10년간 한반도 주변 기상을 관측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최원호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이번 발사 성공으로 우리나라가 3.5톤급 정지궤도위성 독자 플랫폼을 확보함에 따라, 본 위성 본체를 활용해 다양한 서비스 위성으로 확장하는 것이 가능해졌다”며 “국민에게 더욱 정확한 기상서비스 뿐 아니라, 산불 황사, 오존 같이 실생활과 밀접한 정보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테크M = 곽예하 기자(yeha1798@techm.kr)]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