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홍원표 삼성SDS 사장 “인텔리전스팩토리 시대 선도”

공장과 ICT기술이 결합한 스마트팩토리가 진화한 인텔리전스팩토리

2018-08-28김태환 기자

28일 홍원표 사장이 서울 송파구 삼성SDS타워에서 열린 '미디어데이' 인사말을 통해 인텔리전스팩토리 개념을 설명하고 있다.

 삼성SDS가 공장과 ICT기술이 접목된 스마트팩토리 분야에서 더욱 진일보한 개념의 '인텔리전스팩토리' 시대를 선도하겠다고 나섰다. 인텔리전스팩토리로 기존 스마트팩토리가 지닌 문제를 분석해 공정 효율화와 함께 공장 내부를 벗어난 외곽 플랜트까지 지원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홍원표 삼성SDS사장은 28일 서울 송파구 삼성SDS에서 열린 미디어데이 행사를 통해 “IT서비스 부분에서 핵심적으로 집중하는 분야 중 하나가 인텔리전스팩토리”라며 “인텔리전스팩토리는 삼성SDS IT서비스 분야 매출에서 중요한 산업”이라고 밝혔다.

그는 “인텔리전스팩토리는 스마트팩토리보다 고도화된 지능화 플랫폼 역할을 할 것”이라며 “공장 인바운드인 제조현장 뿐만 아니라 아웃바운드에 있는 모든 플랜트까지 들여다볼 수 있게 확장한 개념”이라고 말했다.

홍원표 사장은 스마트팩토리와 인텔리전스팩토리의 발전단계를 구글 딥마인드의 ‘알파고’를 예시로 들며 설명했다.

그는 “알파고가 처음 바둑을 시작했을 때가 알파고 첫 버전이라면 지금은 알파고플러스, 알파고제로로 업그레이드됐다”면서 “인텔리전스팩토리 역시 마찬가지로 학습하고 있는 데이터양이나 그 데이터 수준에 따라 지능화 수준이 올라간다”고 말했다.

삼성SDS가 내세운 인텔리전스팩토리 플랫폼 넥스플랜트(Nexplant)는 제조현장에서 수집하는 방대한 양의 자료를 인공지능(AI)과 애널리틱스(Analytics), 사물인터넷(IoT), 블록체인, 클라우드 같은 ICT기술과 결합해 데이터를 분석하고 예측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넥스트플랜트는 설비와 공정, 검사, 자재물류 같은 제조 4대 핵심영역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설계됐다. 우선 설비에 장착된 IoT센서로 수집한 대용량 빅데이터를 AI로 분석해 실시간 이상감지는 물론 장애 시점을 예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설비 가동률을 높이고 공정을 최적으로 제어해 공정품질을 약 30% 향상시킬 수 있다고 삼성SDS 측은 설명했다.

아울러 넥스트플랜트의 불량 분류 정확도는 기존보다 32% 향상됐으며, 무인 자재운반 기계를 활용해 공장 내 자재물류 장치의 가동률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이와 함께 완제품 운송시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실시간 추적이 가능토록 만들었다.

반도체 공장에 적용된 삼성SDS 인텔리전스팩토리 모형도.

한편 삼성SDS는 AI기반 넥스플랜트 플랫폼을 더욱 고도화하고 플랜트 설계∙시공부터 플랜트 운영까지 사업영역을 확장한다는 비전을 밝혔다.

삼성SDS 이재철 스마트팩토리 사업부장은 “30여 년간 축적된 제조IT 구축 노하우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AI기반 인텔리전트팩토리 사업을 강화해 글로벌 제조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리더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테크M = 김태환 기자(kimthin@techm.kr)]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