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리플은 제대로된 블록체인이다"

기반 암호화폐 XRP가 블록체인 기술…“은행과 협의점 찾다 생긴 오해”

2018-03-14김태환 기자

브래드 갈링하우스 리플 대표가 14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기자들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하고 있다.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업체 리플과 관련해 퍼블릭 블록체인 진영에선 폐쇄적이고 중앙 집중식에 가까운 기술이라는 지적이 적지 않다. 탈중앙화와는 거리가 있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으로 보는 시선이 많다.

이와 관련해 브래드 갈링하우스 리플 대표가 공개 석상에서 “리플은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가 맞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리플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금융회사들 간 결제 및 송금에 초점이 맞춰진 암호화폐를 표방하고 있다. 각국 은행들이 실시간으로 자금을 송금하도록 지원하는 프로토콜 겸 암호화폐 XRP를 제공한다.

브래드 갈링하우스 리플 대표는 14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블록체인이 그 동안 많은 사람들에게서 회자되며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지만 XRP는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도 전통 블록체인 암호화기술”이라며 “원장 자체를 보더라도 분명 블록체인이며 리플 역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XRP가 중앙화 돼 있다고 잘못 이해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렇지 않다. XRP는 오픈소스 기술이며 누구나 백서를 다운받고 활용할 수 있다”면서 “단, 은행들은 퍼블릭 블록체인을 통해 거래내역이 공개 되는 걸 원치 않기에 비밀유지상황을 마련하기 위한 별도의 시스템을 적용했는데, 이로 인한 오해가 발생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리플 서비스와 기반 디지털 자산인 XRP는 구분해 생각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한국에서는 ‘리또속’(리플에 또 속냐, 가격 변동성이 커 수익이 나지 않음을 뜻하는 신조어)라는 얘기가 있지만 리플과 XRP는 다르다. 리플에 속았다기 보단 XRP에 속는 것”이라며 “리플은 XRP 기반 송금 솔루션이며, 리플은 XRP라는 디지털 자산을 통해 국제 송금 시스템을 개선하는 것이 목표인 사업체이자 서비스”라고 설명했다. 또 모든 암호화폐가 규제를 부정하는 등의 ‘무정부주의’가 아니라고 덧붙였다. 

브래드 대표는 “암호화폐는 규제를 부정하고 익명거래만 추구한다는 인식이 있는데, 모든 암호화폐가 그런 것은 아니다”면서 “리플은 각 당국과 정식거래소, 금융기관과 함께 문제 해결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리플은 현재 약 600억 XRP를 보유하고 있으며 550억 XRP는 에스크로 계좌에 보관돼 있다. 리플의 송금 솔루션은 크게 x커런트, x래피드 등 두 가지가 있다. x커런트는 기관들이 지급결제에 관한 금융정보를 실시간으로 주고받고 즉각적인 정산과 결제가 이뤄지도록 지원한다. x래피드는 금융기관이 XRP를 통해 송금하는 시스템이다. 기존처럼 외화타점예치계좌에 자금을 미리 넣어두지 않아도 돼 유동성을 손쉽게 확보할 수 있으며, 지급결제 속도도 더 빨라진다고 리플 측은 설명했다.

현재 리플은 총 9400만 달러의 투자를 유치했으며 100여개의 고객사를 두고 있다. 한국의 신한은행, 우리은행과 더불어 일본 61개 은행이 참여한 ‘일본 은행 컨소시엄’, 중국 결제 서비스 제공업체 리안리안, 남미 최대 은행인 이타우 은행 등이 있다.  

[테크M = 김태환 기자(kimthin@techm.kr)]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