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이더리움 창시자 “가상화폐 투기 관심 블록체인 활용으로”

2017-09-26김태환 기자

이더리움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가운데)이 25일 오후 서울 강남구 코엑스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통해 이더리움에 비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더리움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이 가상화폐는 이더리움의 일부 기능일 뿐이며 이더리움이 다양한 범용성을 가진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설계됐다는 점을 강조했다. 많은 투자자가 이더리움을 가상화폐로만 인식하는 것을 경계한 발언으로 보인다.

비탈릭 부테린은 25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인터콘티넨탈호텔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더리움에 대한 한국 투자자들의 관심이 많은 것은 알고 있지만, (이더리움은) 단순 투자수단이 아니다”라며 “이더리움은 다양한 응용분야는 물론 비금융 분야에서도 동일한 사용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부테린은 “비트코인은 암호화폐를 운영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을 개발했지만, 이와 달리 이더리움은 블록체인 기술을 지원하기 위해 암호화폐를 만든 것”이라며 “이더리움에서의 암호화폐는 경제모델을 운영하기 위한 도구”이라고 설명했다.

이더리움은 기존 블록체인에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 기능을 추가한 확장형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스마트 계약은 블록체인에 네트워크에 미리 프로그래밍 조건을 등록하고, 이를 만족하면 거래 또는 계약이 자동으로 이뤄지도록 하는 기술이다. 금융은 물론 병원 진료 예약, 부동산 확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계약 이행을 확인할 수 있다.

이더리움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은 스마트 계약이 이더리움의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비탈릭은 스마트 계약이 이더리움의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더리움은 범용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기업 네트워크간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며 “지난해 프로젝트들을 살펴보면 기존 네트워크와 융합해 가치를 공유하면서도 특정 기업이 마음대로 통제하지 못하도록 규칙을 정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또 “'생활 코드'를 이용해 프로그래밍을 하는 앱 개발자나 기업 업무를 이용하는 기업 참여자 등 모든 사람이 이더리움을 품을 수 있다는 점에서 범용성이 빛을 발할 것”이라며 “사람들이 이더리움의 기술과 철학, 플랫폼에 대해 더 많이 알고 투기적 관심과 에너지를 블록체인 기술의 가능성과 운용성으로 바꾸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가상화폐의 미래에 대해 그는 전통화폐를 완전 대체하기는 힘들지만 상호 보완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분석했다.

부테린은 “법정화폐나 은행을 암호화폐가 대체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오지만 그렇지는 않을 것”이라며 “비트코인으로 월급을 받으면 가격변동성이 심해 안정성을 해친다"고 설명했다. 그는 "법정화폐가 주는 가치는 따로 있다"며 "블록체인과 법정화폐가 각각의 역할을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규제와 관련해서는 블록체인 자체에 대한 규제보다 활용방안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각 국 정부가 블록체인에 대해 각기 다른 입장을 보이고 있지만 중국을 제외하면 대부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며 “블록체인 자체를 규제하기보다는 특정 활용에 대해 규제하는 방안이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비탈릭 부테인은 러시아계 캐나다인으로 시가총액 기준 세계 2위 암호화폐이자 블록체인 플랫폼인 '이더리움'을 개발했다. 10세 때부터 컴퓨터 게임을 만들기 위해 프로그래밍과 코딩을 독학했으며 17세에 비트코인을 접한 뒤 19세때 이더리움의 설계도인 '백서'를 발간했다. 

2014년 신기술 분야의 노벨상이라고 불리는 월드 테크놀로지 어워드에서 페이스북 창업자인 마크 저커버그를 제치고 IT 소프트웨어 부문에서 수상해 주목받았다.

올해는 포춘이 선정한 40세 이하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가운데 가장 어린 나이로 공동 10위에 올랐다.

[테크M = 김태환 기자(kimthin@techm.kr)]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