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ETRI, 성능 대폭 높인 일체형 ‘자율주행차 프로세서’ 개발

프로세서 코어 4개→9개…“AI 기술 접목도 추진”

2017-09-19김태환 기자

ETRI 연구진이 성능을 높여 개발한 자율주행차 프로세서(알데바란) 칩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자율주행차의 두뇌 역할을 담당하는 프로세서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켰다.

프로세서 코어를 기존 4개에서 9개까지 늘려 실시간으로 초고화질(UHD) 영상을 처리할 수 있는데다 센서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하나의 칩으로 통합처리가 가능해져 효율성을 크게 높였다. 향후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해 프로세서 성능을 100배 이상 향상시킨다는 계획이다.

ETRI는 자율주행차가 요구하는 영상인식 및 제어기능을 통합 실행하는 프로세서 칩 ‘알데바란’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알데바란은 기존 4개였던 프로세서 코어를 9개로 늘리면서 처리속도가 빨라지고 인식기능도 크게 개선됐다. 실시간 UHD 영상 처리와 함께 보행자, 차량, 차선, 움직임 인식을 지원하고 레이더 및 GPS 신호처리 인식도 가능하다.

또 프로세서 칩을 하나로 통합해 원칩(One-chip)화 함으로써 카메라 영상처리와 운전자지원시스템, 블랙박스 기능 등을 한 번에 지원하도록 했다.

이를 통해 생산단가를 낮추고 칩을 소형화할 수 있게 됐다. 글로벌 경쟁업체가 내놓은 분리형 칩의 모듈가격이 수십만 원대이지만 수만 원 대로 낮출 수 있다고 ETRI 측은 설명했다. 칩의 크기는 7.8×6.7mm로 손톱보다 작다.

성능이 개선됐음에도 소비전력은 1와트(W) 내외의 저전력으로 세계 최소 수준을 달성했다.

아울러, 국제표준화기구(ISO)의 기능 안전 국제표준(ISO 26262)도 만족하는 프로세서 코어도 지난해 2개에서 4개로 늘렸다. 이로써 서로 다른 기능 안전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SW)를 구동하기 쉬워졌다. 충돌 인식 등과 같은 위험 인식이 빨라진 셈이다.

프로세서가 내장된 칩은 국제표준 기준인 오류 방지 기준을 99% 이상 만족시킨다. 만일 차량 급발진의 경우처럼 전자장치가 고장 날 경우 즉시 프로세서가 자체적으로 확인 후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알데바란 칩이 적용된 자율주행차 주행 예상도

 

한편 ETRI는 지난해 자율주행차 전용 프로세서를 개발해 반도체 설계 전문업체인 넥스트칩에 기술이전 했다. 이번에 개발한 칩도 올 하반기 중 관련기업 기술이전을 통해 대량생산을 하고 내년 중에 상용화 한다는 계획이다.

ETRI는 향후 신경망(Neural network) 기술을 활용, 영상인식 엔진에 초고성능의 인공지능 기술을 넣어 칩화 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ETRI는 이번 프로세서를 AI 정보기기에 응용할 수 있도록 만들기 위해 현재 영상인식 지능을 실시간, 저전력으로 실현하는 설계를 완료한 상태다.

연구진은 내년까지 현재보다 영상인식 엔진 성능이 100배 이상 향상된 AI 프로세서를 제작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권영수 ETRI 프로세서연구그룹장은 “향후 사람처럼 움직이는 모든 물체를 정확히 인식하는 것이 목표”라며 “기계와 사람간의 대화에서 목적지를 정하고 길을 스스로 찾아가는 서비스가 가능한 칩 개발이 가능해질 것”이고 말했다.

[테크M = 김태환 기자(kimthin@techm.kr)]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