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미세먼지 등 환경문제 빅데이터로 대응한다

환경부-한국환경공단 환경정보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추진

2017-05-25강진규 기자

 

정부가 대기, 수질, 상하수도, 생활환경, 환경보건 등 각종 환경 정보를 통합, 융합한 빅데이터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플랫폼을 만든다.

25일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은 내달부터 오는 12월까지 ‘환경정보 융합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위한 정보전략계획(ISP)을 수립할 예정이다.

정부는 환경 관련 정보시스템들에 분산돼 있는 정보를 융합해 환경문제 해결과 정책 수립 등에 반영하기 위해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할 방침이다.

환경 빅데이터 플랫폼은 민간부문과 공공부문의 데이터를 융합, 분석해 민·관·산·학계의 다양한 사용자가 공유·활용할 수 있는 개방형 플랫폼 방식으로 만들어질 예정이다. 단기적으로는 환경 관련 기관들이 자체 보유한 내부 빅데이터를 활용해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하도록 하고 중·장기적으로는 민간 데이터와 융합해 활용도 높이겠다는 것이다.

적용대상 시스템은 대기환경, 물환경, 상하수도, 환경보건, 자연보전, 자원재활용, 자원순환 등 분야에 40여개가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 공단은 ISP 수립 과정에서 현황을 분석할 예정이다.

분석 대상은 굴뚝 원격감시 시스템, 대기오염도 실시간 공개시스템, 국가대기오염 정보관리시스템, 대기총량 관리시스템, 도로먼지 모니터링 시스템, 자동차 배출가스 종합전산시스템,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정보시스템, 수질 원격감시체계 관제시스템, 물환경 정보시스템, 수질오염 방제정보시스템, 상수도 정보시스템, 하수도 정보시스템, 국가소음 정보시스템, 실내공기질 통합관리시스템, 전기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재활용시스템, 폐기물 관리시스템, 화학물질 안전관리 정보시스템 등이다.

정부는 단순히 플랫폼만 구축하는 것이 아니라 올해 하반기에 2018년부터 2022년까지 환경 분야에 빅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한다. 중장기 빅데이터 기본계획과 비전을 수립하고 5년 간 로드맵을 만든다는 것이다. 또 환경부와 공단은 빅데이터 분석과제도 발굴, 지원해 환경 분야 빅데이터 활용의 마중물 역할도 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올해 연말까지 ISP가 마련되면 내년 실제 플랫폼 구축이 진행되고 이르면 내년 하반기 중으로 빅데이터 플랫폼이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환경 분야 빅데이터 플랫폼이 만들어지면 환경문제가 발생했을 때 원인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문제가 되고 있는 미세먼지 대책 수립, 4대강 오염문제 대책 수립 등에도 빅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학계에서 환경 연구를 진행하고 정부가 환경정책을 수립할 때도 빅데이터가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환경공단 관계자는 “환경 분야에 빅데이터 활용을 위해 ISP를 진행하려 한다”며 “구체적인 빅데이터 활용 방안과 추진 일정 등은 ISP가 진행되고 결과가 나와야 알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테크M = 강진규 기자(viper@techm.kr)]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