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시만텍 “워너크라이 배후는 라자루스 그룹”

북한 “미국 지령에 따른 사이버 모략극”

2017-05-23강진규 기자

2014년 소니픽처스 해킹 사건 당시 해커들의 협박 메시지 모습

 

'워너크라이(Wannacry)' 랜섬웨어를 만든 해커들이 2월부터 활동을 시작했으며 2014년 소니 픽처스 해킹 사건을 일으킨 라자루스(Lazarus) 그룹과 동일한 조직일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라자루스 그룹은 북한과 연계된 조직으로 알려져 있어 이번 랜섬웨어 사태와 북한의 연관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에 대해 북한은 자신들에 대한 모략이라며 오히려 미국이 배후에 있다고 반발하고 있다.

 

보안업체 시만텍 "워너크라이 랜섬웨어 라자루스와 연관성 높다"

미국 보안업체 시만텍은 워너크라이 악성코드를 분석한 결과 사이버 공격 집단인 라자루스 그룹과 높은 연관성을 발견했다고 23일 밝혔다.

시만텍은 워너크라이 랜섬웨어 공격에 사용된 도구와 인프라가 2014년 소니 픽처스 해킹과 2016년 방글라데시 중앙은행에서 8100만 달러를 해킹으로 절도한 라자루스 그룹이 사용한 기술과 상당히 유사해 동일 그룹의 소행으로 확신한다고 주장했다. 미국 FBI와 보안 업계에서는 라자루스 그룹이 북한과 연계된 조직으로 보고 있다.

시만텍은 워너크라이 악성코드를 최초로 발견한 것이 2017년 2월 10일이며 당시 감염된 조직에서는 1차 감염 2분만에 100대 이상의 컴퓨터가 감염됐다고 설명했다. 시만텍은 당시 공격에서 발견된 5개의 악성코드 가운데 3개가 라자루스 그룹과 연관이 있는 악성코드인 것으로 분석했다.

두 가지는 소니 픽처스 공격에 사용된 데스토버(Destover) 악성코드의 변종이며, 다른 하나는 과거에 라자루스 그룹이 대한민국을 겨냥한 공격을 감행했을 때 사용했던 볼그머 트로이목마 악성코드인 것으로 확인됐다.

시만텍은 3월 말 새로운 버전의 워너크라이가 발견된 2차 공격에서도 워너크라이와 라자루스 그룹 배후에 있는 공격자들 간에 연관성이 있음을 더 입증해주는 정보들이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워너크라이 랜섬웨어 감염 시 나타나는 화면 모습

 

시만텍은 1차, 2차 공격의 워너크라이 랜섬웨어에서 라자루스 그룹이 전통적으로 사용해온 악성코드가 발견된 반면 5월 12일 3차 공격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MS) 윈도 운영체제의 SMB 취약점을 이용해 진화한 버전의 워너크라이가 배포됐다고 지적했다.

시만텍은 워너크라이가 라자루스와 관련된 악성코드인 페이크퓨드와 유사한 코드 난독화를 사용하며 3~4월 워너크라이 확산에 사용된 알판크 트로이목마 역시 라자루스 그룹과 연관성이 있다고 밝혔다.

윤광택 시만텍코리아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워너크라이에 사용된 코드와 인프라, 기술 등 여러 가지 요소가 라자루스 그룹이 사용한 것과 기술적 연관성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확인돼 워너크라이 랜섬웨어 배후에 라자루스 그룹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만 워너크라이 공격은 과거 라자루스 그룹의 공격에서 볼 수 있었던 정치적 보복이나 체제 혼란이 목적이 아니라 금전적 목적을 위해 감행된 전형적인 사이버범죄 활동으로 분석 된다”고 덧붙였다.

 

북한 "모략날조 소동" 반발

이와 관련해 북한은 연일 반발하고 있다. 21일 우리민족끼리와 22일 조선중앙통신은 랜섬웨어 사건의 북한 배후설이 남북 관계 개선을 막아보려는 한국 사이비언론들의 모략극이라고 비난했다. 조선중앙통신은 북한 연계설에 대해 "너절하고 유치한 모략날조 소동"이라고 일축했다. 

오히려 전 세계 전문가들이 이번 공격을 초래한 범죄자가 미국이라고 비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테크M = 강진규 기자(viper@techm.kr)]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