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거버넌스 이슈 부상, 다양한 실험 이어질 것"

2016-12-28정리 정지연 객원기자



2017년을 빛낼 기술은 무엇이고 그 중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포인트는 뭘까. 이를 알아보기 위해 테크M은 한국정보화진흥원과 공동으로 각 분야의 전문가들을 초청, 2017년을 달굴 키 트렌드를 점검하는 릴레이 좌담회를 가졌다. 릴레이 좌담회 중 핀테크와 보안 분야의 토론을 정리했다.

릴레이 좌담회에 참석해주신 분들
이경호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정연일 이리언스 이사, 반형식 포컬포인트 대표, 최공필 한국금융연구원 미래금융연구센터장(사회)


이경호 비대면 거래가 전체의 70%에 육박하고 비트코인 같은 디지털 화폐가 등장했으며 은행은 현금 인출이 필요할 때 ATM을 찾는 수준으로 바뀌었다. 통화량에 대한 개념 설정에서부터 통화량 관리 등 정책적 범위도 시급히 바뀌어야 한다.
또 금융거래가 디지털화되고 머신러닝 등 신기술이 적용되면서 등 국제 범죄 집단의 해킹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돼 있다. 이같은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새로운 보호 정책이 필요하다.
신기술과 시장, 정책 간의 시간 격차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특구나 샌드박스처럼 기존 법 체계나 규칙에서 제외된 공간을 만들어 먼저 적용하고 평가하는 것도 고려해볼 만하다.

반형식 인프라적 성격이 강한 분야나 시장 질서를 위해 심판이 필요한 것 이외에는 민간이 스스로 할 수 있도록 두고 정부는 기존 규제를 없애는데 집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오 정보를 활용한 서비스 전망은

최공필 개인의 생체 정보까지 수집해 인증해야 할 필요가 있는가 하는 생각이 든다. 앞으로 생체 정보를 누가 수집하고 관리하느냐가 큰 사회적 이슈로 대두할 것이다.

정연일 홍체인식의 경우 출입통제에서 시작해 핀테크 분야로 그 적용 범위를 늘려가고 있다. 홍체는 지문과 달리 사람마다 차별성이 커 보안성이 높고 분실 위험도 없어 최고의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우려하는 것과 달리 제3자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분리해 보관할 수 있고 해킹의 위험도 낮다. 보통사람들이 10자리 비밀번호를 쓴다면 홍체는 600자리에 가깝고 생체정보의 미세한 변화도 감지해 대응하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다.

이경호 생체정보를 중앙에 모은다면 유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국가가 지원하는 기관 등에 분산하면서 연계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일본의 경우 개인정보를 비식별화해 그레이존에 보관한 뒤 여러 개를 조합하는 방법으로 사용한다. 머신러닝이 도입되고 컴퓨팅 파워가 높아지면서 이 같은 방법에 유연성이 높아졌다.



새롭게 떠오를 보안 기술과 서비스는

정연일 생체정보를 활용하기 위해 금융결제원에서 분산서버를 구축 중인데 2017년부터 생체인식이 본격적으로 확산될 것이다. 홍체뿐 아니라 지문, 정맥 등 다양한 생체정보를 사용자가 취사선택해 조합해 사용하는 인증방법도 도입될 전망이다.

반형식 아파치의 밀라노 프로젝트처럼 분산화된 보안체계가 도입되고 복잡한 것은 아래로 숨기고 사용자는 간단하게 활용하는 보안기술이 선보일 것이다. 결국 보안과 사용편의성 두 마리의 토끼를 모두 쫓는 게 그 방향이 될 것으로 본다.

이경호 머신러닝의 도입이 정보보호와 서비스 혁신에까지 여파를 미칠 것이다. 빅데이터까지 결합해 개인의 신용도 평가도 달라지고 은행의 업무가 경쟁력을 제고하게 될 것이다. 또 빛으로 센싱하는 기기들은 해킹이 가능하기 때문에 역으로 이를 보완하기 위한 보안 기술이 개발될 것으로 전망한다.

정부가 집중해야할 관련 정책 방향은

최공필 실물 경제에서 디지털 격차가 심각하다. 비대면 거래가 늘고 있지만 노인들의 경우는 대부분 불편한 몸을 이끌고 지점으로 나온다. 이들이 쉽고 편하게 쓸 수 있는 기술 개발과 교육 지원이 필요하다.

이경호 소외계층에 대한 지원은 결국 교육이라고 생각한다. 기업은 쉽게 개발하고 재교육할 수 있도록 하고 정부는 기업이 움직일 수 있도록 뒤에서 기획하고 지원해야 한다.

반형식 정부가 과도한 기능을 요구하고 불필요하게 집중해 실패한 대표적 사례가 PKI(공개키 기반 구조)다. 정부는 개입을 최소화하고 제공자 입장에서 모든 것을 일거에 원스톱으로 해결하려하기보다 개개인이 필요한 것을 맞춤 형태로 선택할 수 있도록 기술과 서비스가 개발되도록 이끌어주면 좋겠다.

<본 기사는 테크M 제45호(2017년 1월) 기사입니다>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