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미래부 “클라우드 우선 도입 담당관제 내년 전 부처로 확대”

2016-11-21강진규 기자
미래창조과학부가 산하기관을 대상으로 시행하고 있는 클라우드 우선 도입 담당관(CCFO) 제도를 내년 전 부처로 확대할 방침이다.

신상열 미래부 소프트웨어진흥과장은 21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2016 그랜드 클라우드 컨퍼런스'에서 “CCFO를 전 부처로 확대할 수 있도록 협의할 것”이라며 “각 기관의 CCFO는 소관 공공기관의 클라우드 컴퓨팅 이용 검토, 도입계획 조정 등의 총괄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상열 미래부 소프트웨어진흥과장이 21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신상열 미래부 소프트웨어진흥과장이 21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미래부는 클라우드 산업 활성화를 위해 공공부문의 클라우드 우선 도입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2018년까지 전체 공공기관 중 40%(기관수 기준) 이상이 클라우드를 사용할 수 있게 하겠다는 것이다. 미래부는 이 같은 방안의 일환으로 산하기관부터 클라우드 서비스를 우선 도입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미래부는 이를 위해 지난 6월 산하기관들에 미래창조 클라우드 퍼스트 책임관(CCFO)을 임명하도록 했다. 현재 48명의 CCFO가 활동하며 클라우드 도입을 추진 중이다. 미래부는 바로 이 CCFO를 전 부처로 확산하는 방안을 내년에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미래부는 또 내년에 클라우드 선도사업을 확대한다.

신상열 과장은 “교육, 금융, 의료 등 파급 효과가 큰 분야에서 내년에 클라우드 선도사업을 계획하고 있다”며 “SW 교육 부문에서 대형 선도 프로젝트를 만드는 방안을 생각하고 있으며, 대학 전산시스템에 시범사업을 하는 방안과 핀테크 업체와 금융권 클라우드 시범사업을 해보는 방안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래부는 또 내년에 클라우드 부문에서 예산이 잘 집행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협의해 2017년 예산 집행 지침에 클라우드 우선 적용 방안을 반영할 예정이다. 또 2018년 예산 편성 지침에도 클라우드 우선 도입을 반영하기로 했다.

이와 함꼐 미래부는 공공기관, 클라우드 업계 등의 의견을 반영한 후 관계부처 협의를 통해 ‘공공기관의 민간 클라우드 이용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개정하는 방안도 검토할 방침이다.

한편, 미래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NIA),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개최한 이번 행사에는 싱가포르와 영국 관계자들이 참석해 각국의 클라우드 도입 현황을 소개했다. 또 KT, SK주식회사 C&C, 솔트룩스, 코스콤, 국회도서관 등에서 클라우드 기술과 도입사례 등을 발표했다.

[테크M = 강진규 기자(viper@techm.kr)]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