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SW 취약계층 지원 방안 나오나

2016-10-06강진규 기자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소프트웨어(SW) 교육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취약계층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다. 이런 연구가 향후 SW 취약계층에 대한 정책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6일 SW 업계에 따르면 SW정책연구소가 이 달부터 오는 12월까지 ‘SW 취약계층을 위한 SW 교육방안 연구’를 진행한다.

SW정책연구소 관계자는 “SW 교육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취약계층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어떤 사람들이 SW 활용과 교육에 취약한지 정확히 파악해보기 위해서 연구를 진행할 것이며, 연구 결과를 보고 지원방안을 만들고 정책을 건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동안 국내에서는 인터넷, 스마트폰 등의 급속한 확산의 이면에서 취약계층의 정보격차 문제가 불거져왔다.

미래창조과학부의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5년 전체 국민의 인터넷 이용률이 85.1%지만 장애인은 66.8%, 저소득층은 73.9%에 그쳤다. 또 노년층은 61.7%, 농어민은 56.2%로 큰 격차를 보였다.

일반 국민 대비 취약계층의 정보화 수준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기준으로 일반 국민의 종합정보화 수준을 100으로 봤을 때 장애인 86.2%, 저소득층 87.7%, 농어민 72.2%, 노년층 77.4%로 분석됐다.

이에 정부는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지원방안과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취약계층의 인터넷 이용률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취약계층의 인터넷 이용률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전문가들은 SW 분야의 경우 격차가 더 클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에 비해 SW는 좀 더 어려운 영역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SW정책연구소는 SW교육 취약계층을 파악해 SW 취약계층을 정의하고 유형을 분류할 예정이다. 검토 대상은 다문화 가정, 농어촌·섬·산간지역, 장애인, 새터민, 청소년 재소자 등이 될 것으로 알려졌다.

SW정책연구소는 또 정보화 취약계층에 대한 정책과 교육 등을 분석해 SW 취약계층 문제에 참고할 방침이다. 그리고 이런 내용을 종합해 SW 취약계층 유형별로 SW 교육 활성화 방안을 만들 계획이다.

[테크M = 강진규 기자(viper@techm.kr)]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