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항우연 태양광 무인기, 세계 세 번째 성층권 진입 성공

2016-08-25테크M 취재팀

 

태양광 무인기

 
[테크M = 취재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은 태양광 무인기(EAV-3, Electrical Aerial Vehicle)가 18.5km 고도의 성층권에서 90분간 비행에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로써 'EAV-3'는 영국의 '제퍼(Zephyr)', 미국의 '헬리오스(Helios)'에 이어 세계 세 번째로 성층권 진입을 기록했다.

성층권은 대기의 9% 수준인 대기밀도와 기온 영하 70℃로 전자장비에 가혹한 환경이어서 일반 항공기는 비행이 어렵다. 하지만 바람이 약하고 구름이 없어 태양광을 동력원으로 활용, 장기체공에 유리한 환경이기도 하다. 일반 항공기 운항이 불가하기 때문에 관제 영역에서도 제외돼 비행 활용성이 크다.




성층권 체공의 높은 활용도를 점친 세계 각국이 고고도 태양광 무인기 기술을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페이스북은 성층권 비행을 통해 무선인터넷 망을 구축해 오지에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아퀼라(Aquila)' 프로그램을 추진 중이다. 유럽 에어버스 DS는 키네틱의 제퍼(Zephyr)를 인수해 저궤도 위성의 일부 임무를 대체할 고고도 장기체공 전기동력 무인기를 개발 중이다.

항우연은 2010년 전기동력 무인기 핵심기술 개발에 착수해 2013년 22시간 연속 비행 및 5km 도달(EAV-2), 2014년 25시간 연속 비행 및 10km 도달(EAV-2H), 지난해 14.12km 도달(EAV-3)하는 등 꾸준히 기술 수준을 높여왔다. 또 성층권에서의 저온 문제 해결을 위한 고고도 프로펠러 설계기술, 초경량 구조물 설계기술 등에 이어 기체 내부 온도 제어, 고고도 에너지 운용 등 고고도에서의 비행 운용에 필요한 기술을 향상시켜 왔다.

항우연은 앞으로 EAV-3를 활용해 지상 관측, 대기자료 획득, 실시간 영상 전송, 통신중계, 기상관측 등 다양한 임무 수행 시험을 진행해 실용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또 고고도 장기체공 태양광 무인기를 활용한 관련 서비스 확대를 위해 관련 기업에 기술이전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테크M = 취재팀(techm@techm.kr)]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