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클라우드, 인프라 경쟁은 끝…세부 기술에 주목해야"

2016-03-30도강호 기자
29일 서울 양재동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29일 서울 양재동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제8회 클라우드 데이'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투자를 보면 미래가 보입니다. 클라우드 분야 투자 중에서 보안에 대한 투자가 가장 많습니다.”

29일 서울 양재동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제8회 클라우드 데이'에서 이한주 스파크랩 대표는 클라우드 분야의 중요 기술로 보안을 꼽았다.

이 날 행사에서 이한주 대표는 "미국 실리콘벨리 유명 투자사인 안드리센 호로위츠의 클라우드 관련 투자 15건 중 5건이 보안기업에 대한 투자이며, 보안 기술에 집중하고 있는 이스라엘의 경우 매달 클라우드 관련 분야에서 중요한 투자 계약이 일어난다"며 클라우드 분야에서의 보안 기술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대표는 또 클라우드 분야의 중요 트렌드로 데이터, 데이터의 활용, 아마존과 경쟁 혹은 공존, 중국의 성장을 클라우드 분야의 중요 트렌드로 꼽았다.

이 대표는 “데이터가 돈”라며 아마존, 구글 등이 고객 데이터를 모으기 위해 공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두고 “돈을 모으고 있다”고 표현했다.

이 대표는 또 "B2B 클라우드 분야가 더 커질 것"이라며 "특히 클라우드 관련 컨설팅, 클라우드 매니지먼트·모니터링·보안 등 부가 서비스가 실제 매출을 올리는 중요 서비스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대표는 클라우드 활용을 위한 인공지능 기술, 데이터 분석기술도 투자가 집중되는 분야라고 소개했다.

클라우드 분야는 아마존을 빼놓을 수 없다. 아마존이 보유한 클라우드 인프라가 다른 모든 기업의 인프라를 더한 것보다 크기 때문이다. 이 대표는 그만큼 ‘아마존 따라가기’와 ‘아마존 대항’이 동시에 일어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아마존 따라가기는 사용자가 아마존을 완전히 떠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만큼 아마존의 인프라와 자신들의 인프라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대표는 “구글은 기술력은 아마존과 동등하다”면서도 “구글은 스택드라이버라는 업체를 인수해 구글 클라우드와 아마존 웹 서비스를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 대표는 아마존에 대항하는 방법으로 ‘컨테이너’ 기술을 소개했다. 컨테이너는 클라우드 인프라에서 실제 서비스를 작동시키는 일종의 가상화 기술이다. 컨테이너를 이용하면 특정 인프라에 종속되지 않고 자유롭게 서비스를 옮길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대표는 중국 클라우드 시장의 부상에 주목했다. 중국 정부가 클라우드 분야에 전폭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대표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지난해 12월에 있었던 VM웨어와 수곤의 제휴를 꼽았다. 수곤은 슈퍼컴퓨터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기업이다. 이 대표는 “VM웨어가 수곤에게 소스코드를 넘기고 수곤이 중국 정부가 쓸 클라우드를 만들기로 했다”며 “미국 기업이 소스코드를 넘기면서 중국과 제휴를 할 정도로 중국의 위상이 달라졌다”고 지적했다.

이 대표는 “인프라는 이전만큼 중요하지 않다”며 “한국 기업도 투자 동향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보안 등 특정 분야에 집중한 기술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