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CEO리포트] 리멤버, '한국형' 링크드인 목표…"HR 시장 판도 바꾸겠다"
정보 공개 제한적인 '리멤버 커리어'…잠재적 이직 수요 높은 경력직 위주
"명함관리 플랫폼으로 시작했지만 향후에는 이곳에서 개개인이 각각의 비즈니스 아젠다를 해결하도록 돕는 종합 비즈니스 공간으로 성장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명함관리 앱 '리멤버'를 운영하는 드라마앤컴퍼니의 최재호 대표는 최근 강남구 본사에서 머니투데이방송과 만나 "이번에 시작한 인재검색 서비스 '리멤버 커리어'는 종합 비즈니스 플랫폼으로 도약하기 위한 첫번째 시도"며 "300만명의 이용자를 확보하고 있는 만큼 빠르게 입지를 다져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리멤버 커리어'는 기업인사팀 등 헤드헌터들이 경력직 인재를 검색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리쿠르터들은 인재 검색 서비스를 통해 찾은 적합한 인재에게 채용 관련 메시지를 보내고 리멤버 앱을 이용하는 일반 유저는 채용자가 보낸 메시지를 수신해 매칭이 이뤄지는 구조다.
무엇보다 잠재적 이직 수요가 높은 우수한 중간 관리자급 경력직 인재가 많은 것을 장점으로 내세웠다. 현재까지 등록된 프로필 중 65%가 과장에서 부장급 인재다. 최재호 대표는 "HR 시장의 핵심은 결국 경력직 시장"이라며 "국내 비즈니스맨들이 가장 많이 쓰는 리멤버의 강점이 여기에 있다"고 말했다.
또 '한국형' 링크드인 서비스를 표방한 것이 특징이다. 프로필이 모든 이용자에게 공개되는 SNS형 링크드인 서비스와는 달리 리멤버 커리어는 열람이 제한돼 있다. 사용자의 이직 프로필이 외부인에게 노출되지 않고 기업 인사팀과 헤드헌터 등 채용을 목적으로 하는 사람만 사용할 수 있다.
리멤버 커리어는 현재 유저 확보에 공을 들이고 있다. 반응은 기대 이상이라는 설명이다. 사전 등록자는 10만명이 넘었다. 최 대표는 "국내 HR 시장에는 '한국적'인 것이 필요하다"며 "국내에서는 아직 수요가 미미한 링크드인을 경쟁자로 삼기보다는 링크드인 만큼의 글로벌 가치를 보여주겠다"고 강조했다.
우선 당장의 수익보다는 플랫폼 안착을 1차적 목표로 삼았다. 리멤버 커리어 서비스는 9월까지 무료로 제공된다. 이후 기업인사팀이나 헤드헌터 등 채용자에게 과금을 하는 형식으로 연내 유료화를 꾀할 계획이다. 최 대표는 "우선 HR 시장을 잡기 위해 플랫폼 구축에 힘을 쏟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회사는 이외에 이용자가 전문가 답변을 얻거나, 업종별·직군별 커뮤니티를 통해 전문적인 정보를 교류할 수 있는 서비스들을 개발중에 있다. 이를 통해 이용자들이 단순히 명함 저장이나 구직을 하는 것 뿐 아니라 개개인의 비즈니스 관리를 돕는 도구 역할을 하는 것이 최종 목표다.
드라마앤컴퍼니는 2017년 10월 네이버와 라인플러스의 자회사로 편입됐다. 이후 300억원의 투자를 받고 서비스 출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해 5월에는 네이버 라인과 손잡고 일본 시장에도 뛰어들었다. 네이버 Al랩(Lab) 서치앤클로바와 공동 R&D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등 시너지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최 대표는 애초부터 HR 시장을 염두에 두고 명함관리 서비스를 시작한 만큼 진짜 사업은 이제부터 시작이라는 의지를 내비쳤다. 현재 직원 60명 가운데 절반 가까이가 R&D 인력일 정도로 기술 투자에 힘을 쏟고 있다. 그는 "네이버에 인수됐지만 여전히 스타트업 관점에서 여러가지 도전을 시도하고 있다"며 "HR 시장의 게임체인저가 되겠다"고 강조했다.
박수연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MTN단독]'매각무산' 넥슨, 조직쇄신 작업 '시동'[앵커멘트]최근 매각을 추진하다 무산된 넥슨이 사업조직 개편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조직쇄신에 나섭니다. 1위 업체인 넥슨이 긴축기조로 돌아설 가능성도 있어 촉각이 쏠리는 양상입니다.서정근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넥슨이 그간 PC온라인과 모바일로 양분해 운영하던 플랫폼별 사업본부를 하나로 통합한 후 개별 실무그룹으로 분할해 운영하는 조직개편안을 확정했습니다.김현 부사장이 통합사업본부장을 겸직하고, 박재민 모바일사업본부장과 김용대 PC온라인 사업본부장을 포함한 그룹장들이 장르와 개별사별 매칭을 통해 프로젝트를2019-07-29 09:18:13서정근 기자
-
무엇이든 배달되는 세상 …자동화ㆍAI 기술로 진화하는 택배 현장앵커>무엇이든, 언제든 배달되는 세상. 택배 산업이 급속도로 성장하며 연간 택배 물량이 25억 상자를 넘어섰습니다.국민 한 사람 당 연간 50개 이상의 택배를 받는다고 하는데요. 이런 성장세에 발맞춰 택배현장에서는 다양한 미래 기술이 도입되는 등 시스템의 진화를 거듭하고 있습니다. 김이현 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기자>배송을 시작하기 전 컨베이어 벨트 앞에 서서 일일이 분류 작업을 해야 했던 택배 기사들.그동안 택배 기사들은 배송보다 분류 작업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했습니다.하지만 2016년 CJ대2019-07-29 09:11:47김이현 기자
-
[CEO리포트] 이재성 코멘토 대표 “실전적인 직업체험 제공해 취업난 해결”온라인상에서 구직자가 질문을 올리고, 재직자가 직접 답변을 다는 취업 멘토링 플랫폼 ‘코멘토’가 새로운 도전을 시작했다.오프라인에서 실전적인 직업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직무부트캠프’로 기업 재직자들이 직접 실제 업무에 가까운 과업을 제시하고 결과물을 평가해준다.추상적인 가르침이 아니라, 마치 현장에서 선배에게 직접 조언을 듣는 것처럼 구체적이고 확실한 멘토링을 받을 수 있게 된다.◆인턴십 경험을 오프라인 캠프서 제공이재성 코멘토 대표는 “구직자들이 직업 선택 전2019-07-29 09:09:34김태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