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반도체 부진 숨통 트이나…삼성·SK하이닉스, D램 재고 정상화 '속도'
삼성전자, "시장 수요에 따라 반도체 생산라인 조절…하반기부터 반도체 업황 개선 기대"
[앵커멘트]
반도체 업황 부진이 이어지면서 SK하이닉스를 비롯해 미국의 마이크론도 D램 생산량을 줄이고 있는데요, 삼성전자도 오늘(31일) 시장 수요에 따라 반도체 생산라인을 조절할 거라고 밝혔습니다. 한편 하반기부터는 반도체 업황이 개선될 거라고 전망했습니다. 고장석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국내 반도체 업계의 주력 수출품목인 D램(DRAM).
올해 들어 7개월 연속으로 가격이 떨어지면서 PC용 8Gb램의 고정거래가격은 3년 만에 3달러 선이 무너졌습니다.
삼성전자의 2분기 반도체 영업이익도 덩달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조원이 넘게 줄어든 3조 4,000억원으로 추락했습니다.
하지만 삼성전자가 오늘(31일) 경영 실적 발표에서 고객사들의 D램 구매가 재개되고 있다며 하반기에는 지금보다 상황이 개선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전세원 / 삼성전자 부사장(컨퍼런스콜) : 데이터센터 고객사들의 경우에 올해 1분기까지 이어진 재고조정을 통해서 재고 정상화가
상당부분 이뤄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실제로 2분기 말부터 구매가 재개되는 모습을 보였고
하반기 계절적인 성수기를 맞이해서 수요는 지속적으로 견조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앞서 지난 3월 미국 마이크론은 D램 생산량을 5% 감산하기로 결정했고, SK하이닉스도 이달 25일 기존 D램 공장 설비를 이미지센서용으로 전환해 올해 총 15%를 감산하겠다는 의사를 밝혔습니다.
삼성전자는 또한 '인위적 감산은 없다'는 방침을 내세웠지만 수요에 따라 탄력적으로 반도체 생산라인을 운영할 거라며 여지를 남겼습니다.
삼성전자는 이날 실적 발표에서 일본 수출 규제가 정조준한 차세대 반도체 및 파운드리도 차질없이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삼성전자 측은 "현재 파운드리 가동률이 높아 향후 수요에 대비해 극자외선(EUV) 선단공정과 이미지센서, 8인치 중심으로 증설할 계획"이라며 "화성 EUV 라인은 2020년 상반기 가동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반도체 수요 감소와 일본의 수출 규제로 혹독한 상반기를 보낸 국내 반도체 업체들이 하반기에는 성장동력을 되찾을지 주목됩니다.
머니투데이방송 고장석입니다.
고장석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AI비서는 없어도 그만, 휴대전화는 없으면 하루도 못 살아디지털 소비자 중 절반 이상이 인공지능(AI) 비서 없이 일주일 이상 지내도 아무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답변했다. 반면 휴대전화 없이는 단 하루도 못산다고 대답한 사람이 48%에 육박한 것으로 조사됐다.1일 디지털 콘텐츠 전송 분야의 세계 선도 기업 라임라이트 네트웍스가 ‘2019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현황(State of Digital Lifestyles)’ 조사 연례 보고서를 발표했다.보고서에 따르면 아마존 알렉사(Alexa), 구글 홈(Google Home)과 같은 ‘디지털 비서(dig2019-08-01 10:55:11김태환 기자
-
AI와 빅데이터가 만드는 미래 도시…- NIA, 스마트도시 해외 사례 분석 보고서 발간우리나라는 지난해 세계 최초로 세종과 부산에 스마트도시 시범도시를 결정하고,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은 이에 해외 선진사례를 분석하고, 국내 스마트도시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보고서를 31일 발간했다고 밝혔다.NIA가 발간한 ‘AI·데이터가 만드는 도시 데이터 기반 스마트도시’ 보고서는 각국의 스마트도시 관련 데이터 인프라, 대표 서비스, 민간참여 추진체계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앞으로 우리나라가 스마트도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시사점을 담고 있다.또 대표 사례2019-08-01 10:26:25박응서 기자
-
LG CNS, 은평구에 국내최초 AI보건소 구축LG CNS가 서울시 은평구에 국내 최초로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엑스레이(X-ray) 영상을 분석하는 AI보건소를 구축한다.LG CNS는 한국정보화진흥원(NIA)과 ‘민간 클라우드 기반 AI 의료영상 분석 보조 서비스’ 사업 추진 계약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이 사업은 과기정통부의 공공부문 클라우드 선도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서울시 은평구 보건소에 AI 기술을 도입해 내년 말까지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AI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20초 이내 94% 정확도를 가지고 엑스레이 영상 판독 결과2019-08-01 10:06:44김태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