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메디블록, 의료정보 블록체인 플랫폼 ‘패너시어’ 메인넷 론칭
헬스케어 블록체인 기업 메디블록이 2019년 7월31일 14시를 기점으로 메디블록 메인넷인 패너시어(Panacea)의 제네시스 블록을 성공적으로 생성했다고 밝혔다.
메디블록의 메인넷 패너시어(Panacea)는 환자들이 본인의 의료정보에 대한 주권을 되찾고,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의료정보 생태계를 구성하는 블록체인이다. 환자는 자신의 의료정보를 안전하게 보관, 이용, 업데이트, 전송 같은 일을 처리할 수 있다.
패너시어 이용자는 패너시어를 통해 ▲패너시어의 모든 활동을 트랜잭션으로 확인(개인 의료정보 자체는 해시값만 저장) ▲환자의 동의를 받은 데이터를 활용 ▲웹사이트나 모바일 앱 등에서 환자의 데이터 수집 ▲환자의 의료데이터 활용 동의 수령 ▲환자가 수집한 의료데이터에 대해 환자가 통제권을 행사를 할 수 있다.
패너시어는 PBFT(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ce, 프랙티컬 비잔틴 장애 허용)방식으로 구현한 DPOS(Delegated Proof of Stake, 위임지분증명)방식을 채택해 노드를 구성한다.
패너시어에서 노드로 선정돼 블록 검증과 블록 생성을 수행하는 집단을 검증자(Validator 이하 검증자)라고 지칭하며, 검증자는 검증자로서 역할을 수행할 시 MED 메인넷 코인을 득표 비율만큼 보상으로 지급받는다. 향후 패너시어 검증자는 사용자들의 참여 투표를 통해 선정된다.
후보로 출마할 수 있는 참여자는 일반 사용자, 의료사업체(의료기관)로 구분될 예정이다.
QRC20과 ERC20 기반 토큰을 메인넷 코인으로 스왑하기 전까지는 메디블록이 패너시어 검증자의 역할을 수행한다. 토큰 스왑 완료 후, 메디블록은 검증자 역할 수행을 통해 수령한 MED 메인넷 코인을 소각 혹은 에어드랍 할 예정이다.
고우균 메디블록 공동대표는 “작년 말 메인넷 코드 공개 이후, 메디블록은 높은 수준의 안정성 확보를 최우선으로 하며 벨리데이션 모듈, 블록체인 모듈, 합의 알고리즘 구성 등 메디블록 메인넷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개발을 이어 갔다”며 “자사 서비스를 비지니스에 도입할 준비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메디블록은 하반기에 출시 예정인 간편 보험 청구 서비스 ‘메디패스(Medipass)’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계하여 가장 안전하고 편리한 청구 경험을 선보일 예정이다.
한편, 메디블록은 정부 관계 부처가 합동으로 2023년까지 진행하는 ‘데이터 AI 경제 활성화’ 계획의 한 부분인 마이데이터 사업 의료분야에 최종 지원 사업자로 선정됐다.
또 서울대병원, 세브란스병원, 가톨릭중앙의료원, 하버드 의과대학 실습 수련병원인 MGH처럼 국내외 유수의 의료기관과 협약을 맺어 의료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김태환 테크엠 기자 kimthin@techm.kr
-
AI비서는 없어도 그만, 휴대전화는 없으면 하루도 못 살아디지털 소비자 중 절반 이상이 인공지능(AI) 비서 없이 일주일 이상 지내도 아무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답변했다. 반면 휴대전화 없이는 단 하루도 못산다고 대답한 사람이 48%에 육박한 것으로 조사됐다.1일 디지털 콘텐츠 전송 분야의 세계 선도 기업 라임라이트 네트웍스가 ‘2019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현황(State of Digital Lifestyles)’ 조사 연례 보고서를 발표했다.보고서에 따르면 아마존 알렉사(Alexa), 구글 홈(Google Home)과 같은 ‘디지털 비서(dig2019-08-01 10:55:11김태환 기자
-
AI와 빅데이터가 만드는 미래 도시…- NIA, 스마트도시 해외 사례 분석 보고서 발간우리나라는 지난해 세계 최초로 세종과 부산에 스마트도시 시범도시를 결정하고,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은 이에 해외 선진사례를 분석하고, 국내 스마트도시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보고서를 31일 발간했다고 밝혔다.NIA가 발간한 ‘AI·데이터가 만드는 도시 데이터 기반 스마트도시’ 보고서는 각국의 스마트도시 관련 데이터 인프라, 대표 서비스, 민간참여 추진체계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앞으로 우리나라가 스마트도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시사점을 담고 있다.또 대표 사례2019-08-01 10:26:25박응서 기자
-
LG CNS, 은평구에 국내최초 AI보건소 구축LG CNS가 서울시 은평구에 국내 최초로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엑스레이(X-ray) 영상을 분석하는 AI보건소를 구축한다.LG CNS는 한국정보화진흥원(NIA)과 ‘민간 클라우드 기반 AI 의료영상 분석 보조 서비스’ 사업 추진 계약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이 사업은 과기정통부의 공공부문 클라우드 선도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서울시 은평구 보건소에 AI 기술을 도입해 내년 말까지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AI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20초 이내 94% 정확도를 가지고 엑스레이 영상 판독 결과2019-08-01 10:06:44김태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