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전 세계 스마트폰 판매량 2.5% 감소…2020년 하반기 개선 전망
전 세계 스마트폰 판매량이 지난해와 비교해 2.5%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성능의 상향 평준화로 교체시기가 늦어진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5세대 이동통신(5G)이 본격화되는 2020년 하반기부터 판매량이 상승할 전망이다.
2일 IT 자문기관 가트너(Gartner)가 발표한 ‘2019년 전세계 스마트폰 판매량 전망’에 따르면 올해 전 세계 스마트폰 판매량은 15억대로, 전년 대비 2.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9년에 가장 큰 하락세를 보이는 지역은 일본과 서유럽, 북미 지역으로 나타났다.
일본과 서유럽, 북미의 2019년 스마트폰 판매량은 각각 6.5%, 5.3%, 4.4% 감소하며 최악의 하락세를 보일 전망이다.
이들은 고가 스마트폰이 많이 보급된 성숙한 시장인데, 새로운 제품들이 기존 제품을 교체를 결정할 만큼 매력적인 기능이나 경험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로버타 코자 가트너의 책임 연구원은 “고가 스마트폰 시장은 과잉 공급되고 보편화되어 있다. 제품 평균 판매 가격이 높고 사용자들의 업그레이드를 유도할 새로운 기능이나 경험이 없는 상태”라며 “최근 고가 스마트폰의 평균 판매 가격 상승률이 둔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로 스마트폰 교체에 의존하는 제조업체들은 계속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가트너의 애널리스트들은 2019년 하반기에도 스마트폰 판매량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2020년 상반기에도 이러한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가트너의 애널리스트들은 5G 모델의 폭넓은 가용성과 전 세계 통신사업자들의 적극적인 5G 서비스 패키지 프로모션에 힘입어 2020년 하반기부터 스마트폰 판매량이 다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 2020년에는 애플이 첫 5G 아이폰을 출시하면서 아이폰 사용자들의 휴대폰 업그레이드를 촉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5G가 본격적으로 상용화되는 2020년 하반기에는 5G 스마트폰 판매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네트 짐머만 가트너의 리서치 총괄 부사장은 “주요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첫 5G 스마트폰을 판매하기 시작했고, 통신사업자들은 5G 서비스 패키지를 파격적인 가격에 제공하기 시작했지만 2019년 5G 스마트폰 판매량은 미미할 것”이라며, “5G 하드웨어 서비스의 범위와 가용성이 개선되는 2020년 하반기부터 판매량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2019년 5G 스마트폰 판매량이 1500만대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올해 전체 스마트폰 판매량의 1% 미만에 불과한 수준이다.
김태환 테크엠 기자 kimthin@techm.kr
-
KT, 미국 최대 어린이책 출판사 스콜라스틱과 영어교육 콘텐츠 개발KT가 미국 최대 어린이책 출판사 스콜라스틱(Scholastic)과 협력해 영어교육 콘텐츠 개발에 나선다.KT는 5일 서울 종로구 KT 광화문빌딩 이스트에서 미국 최대 규모의 유∙아동 출판사 스콜라스틱과 ‘IT 기술을 활용한 키즈 영어교육 콘텐츠 사업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양사는 5세대 이동통신(5G), 인공지능(AI), 증강현실(AR) 기술을 기반으로 미래형 영어교육 콘텐츠와 서비스를 공동 개발한다는 계획이다.KT와 스콜라스틱의 세부 협력 사항으로는 ▲스콜라스틱2019-08-05 14:54:32김태환 기자
-
성윤모 "일본 무역보복 조치에 따른 기업 어려움 해소에 역량 집중할 것"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4일 "일본 무역보복 조치와 관련해 기업들의 어려움 해소에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이날 오전 성 장관은 한국무역보험공사에서 '일본 수출규제에 따른 업종별 영향 점검회의'를 열고 이같이 말했다.이 자리에는 반도체·전지·자동차·로봇·기계·디스플레이·화학·섬유·철강·전자정보통신·조선 등 11개 업종별 단체 대표들이 모였다.참석자들은2019-08-05 09:02:22이지안 기자
-
코인 상장 여부 갈린 카카오 식구들 '클레이튼 vs. 람다256'블록체인계 카카오 식구인 클레이튼과 람다256의 자체 발행 코인의 상장 여부가 갈려 주목된다. 카카오의 블록체인계 자회사 클레이튼은 ‘클레이’ 코인을 국내외 어느 거래소에 상장시킬지 고민 중인 반면, 카카오가 23% 지분을 들고 있는 두나무의 자회사 ‘람다256’은 자체 코인을 상장시키지 않기로 했다.3일 업계에 따르면 람다256은 지난달 자체 발행 코인인 루크(LUK)코인을 어느 거래소에도 상장시키지 않기로 결정했다. 루크 코인은 루니버스 플랫폼에서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의 토큰을 주2019-08-05 08:58:24김예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