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삼성 '100단 낸드' 시대 …초격차 기술력으로 일본 수출규제 어려움 극복
128단 256Gb V낸드 기반 기업용 PC SSD 세계 최초로 양산
[앵커멘트]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100단 이상의 V낸드를 기반으로 한 솔루션 제품 양산에 성공했습니다. 약 두 달 전 SK하이닉스가 V낸드 양산에 성공한 데 이어 삼성은 한발 더 나아가 솔루션 제품 양산 단계까지 진입한 겁니다. 특히 이번 성과는 일본의 수출 규제와 상관없이 낸드플래시 시장을 확대해나갈 수 있는 초격차 기술이어서 더욱 의미가 있습니다. 조은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사내용]
삼성전자가 낸드플래시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6세대 V낸드 기술을 선보였습니다.
삼성은 6세대 128단 256Gb(기가비트) V낸드를 기반으로 한 기업용 PC SSD를 세계 최초로 양산에 성공해 글로벌 PC 업체에 납품했습니다.
또한 하반기에는 글로벌 고객 수요 확대에 맞춰 512Gb V낸드 기반 SSD를 비롯한 다양한 용량과 규격의 제품도 계속 출시할 계획입니다.
V낸드는 기존의 단층 구조를 3차원 구조로 개량해 수직으로 쌓는 것으로 이번에 100단 이상 쌓아올려 성능을 향상시켰습니다.
기존 5세대(96단)보다 데이터 전송속도를 10% 높이고, 공정 수와 칩 크기를 줄여 생산성도 20% 향상시켰습니다.
앞서 SK하이닉스도 지난 6월 128단 V낸드 양산에 성공한 바 있습니다.
SK하이닉스가 세계 최초로 칩 개발에 성공했다면 삼성전자는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솔루션 제품인 기업용 SSD 개발에 성공해 공급에 나선 것입니다.
특히 6세대 V낸드는 기존 생산공정에서 양산 가능한데다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일본의 수출규제 품목과도 무관합니다.
업계 관계자는 "불화수소, 폴리이미드, 포토리지스트 모두 차세대 시스템 반도체에 피해가 큰 품목들로 낸드플래시 생산에는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일본이 화이트리스트에서 한국을 배제하기로 결정하면서 반도체 시장의 불확실성은 아직 크지만 압도적인 기술력으로 극복해나가는 모습입니다.
게다가 차세대 V낸드 기술은 침체에 빠진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도 활로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생산효율이 높은만큼 원가절감 효과가 있어 차세대 플래그십 스마트폰이나 기업용 서버 시장을 주도할 수 있어 시장 확대 여지가 큽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차세대 V낸드 라인업 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해 초고속, 초고용량 SSD 시장을 공략해나겠다는 목표입니다.
머니투데이방송 조은아입니다.
조은아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소금으로 저렴한 배터리 만드는 기술 개발…나트륨을 이차전지 전극으로 활용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에너지저장연구단 정경윤 박사팀이 바닷물 속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소금의 주요 구성성분인 염화나트륨(NaCl)을 기반으로 하는 나트륨이온 이차전지용 전극 재료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6일 밝혔다.전기화학적인 에너지저장 기술인 배터리는 소형 전자기기, 전기자동차, 대규모 전력저장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대규모 전력저장 장치에는 수 MWh~GWh 규모로 사용돼 배터리 가격과 경제성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기존의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우수한 성능을 갖고 있지만 리튬과 코발트 같2019-08-07 09:15:31박응서 기자
-
소재·부품 脫일본 러시…"한 번 국산화 되면 다시는 일본산 안 쓴다"[앵커멘트]국내 반도체·디스플레이 업계가 소재 부품에서 '탈(脫)일본'화 시동을 걸었습니다. 기술력이 있어도 일본산에 밀려 제품 개발을 미루던 기업들이 정부지원까지 맞물리며 본격적으로 연구 개발과 양산에 나선 건데요. 한번 국산화가 이뤄지면 더 이상은 일본산을 쓸 이유가 없을 것이라고 업계는 말합니다. 고장석 기자입니다.[기사내용]스마트폰의 oled 패널을 제작할 때 꼭 필요한 핵심부품인 파인메탈마스크(FMM/섀도마스크)일본산에 100% 의존해 온 대표적인 디스플레이 부품입니다.2019-08-07 09:12:02고장석 기자
-
"中企 기술 상용화 어렵다"…중기부, 日 수출규제 애로사항 청취중소벤처기업부가 오늘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일본 수출 규제 확대에 따른 기업들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정부의 피해 기업 지원 방안을 안내하는 간담회를 열었습니다.이번 간담회에는 비엠금속, 반도, 일우정밀, 엔케이산기 등 부품·소재·장비 8개 업체 대표들이 참석했습니다.이들은 핵심 기술을 지니고 있어도 자금이 부족하고 판로도 제한적이라 제품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호소했습니다.이에 대해 박영선 장관은 '대중소기업 상생 품목'을 설정하고 대기업이 중소기업 제품의 판로를 보장해주는2019-08-07 09:05:55윤석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