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인텔-레노버, 고성능 컴퓨팅과 AI 융합 분야 협업
인텔과 레노버는 고성능 컴퓨팅(HPC)과 인공지능(AI) 융합 분야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기회에 집중하려고 다년간 협력을 진행한다고 6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레노버는 인텔의 HPC와 AI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솔루션의 전체 포트폴리오를 최적화해, 이를 시장 전략의 토대로 활용한다.
양사는 이번 협업을 통해 HPC와 AI의 융합을 가속화하고 고객에게 새로운 차원의 통찰력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실제 이들은 2세대 인텔 제온 스케일러블(2nd Gen Intel® Xeon® Scalable) 플랫폼과 레노버 넵튠™(Lenovo Neptune™) 수냉식 기술을 결합했다.
해당 기술을 적용한 슈퍼컴퓨터가 시장에서도 뜨거운 호응을 얻고 있다. 현재 19개 국가의 세계에서 가장 빠른 TOP500 슈퍼컴퓨터 중 173대는 레노버 서버를 사용하고 있으며, 세계 최고 연구 대학 25곳 중 17개 대학이 레노버의 인프라를 기반으로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커크 스카우젠 레노버 수석 부사장 및 데이터센터 그룹 사장은 “레노버는 연구자들이 인류의 가장 큰 과제를 해결하도록 돕는데 열정을 쏟고 있다”면서 “레노버 넵튠™ 수냉식 기술은 2세대 인텔 제온 스케일러블 플랫폼과의 결합으로 고객에게 새로운 통찰력을 제시하고, 에너지 효율 면에서 전에 없던 새로운 차원의 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전했다.
나빈 셰노이 인텔 수석부사장 겸 데이터센터 그룹 총괄 매니저는 “인텔은 HPC와 AI의 융합을 통해 고객이 혁신과 발견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집중하고 있다”며 “레노버와의 긴밀한 협력은 양사의 혁신 기술 중 최고의 기술을 결합하여 고객의 발전을 더욱 빠르게 견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태환 테크엠 기자 kimthin@techm.kr
-
소금으로 저렴한 배터리 만드는 기술 개발…나트륨을 이차전지 전극으로 활용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에너지저장연구단 정경윤 박사팀이 바닷물 속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소금의 주요 구성성분인 염화나트륨(NaCl)을 기반으로 하는 나트륨이온 이차전지용 전극 재료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6일 밝혔다.전기화학적인 에너지저장 기술인 배터리는 소형 전자기기, 전기자동차, 대규모 전력저장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대규모 전력저장 장치에는 수 MWh~GWh 규모로 사용돼 배터리 가격과 경제성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기존의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우수한 성능을 갖고 있지만 리튬과 코발트 같2019-08-07 09:15:31박응서 기자
-
소재·부품 脫일본 러시…"한 번 국산화 되면 다시는 일본산 안 쓴다"[앵커멘트]국내 반도체·디스플레이 업계가 소재 부품에서 '탈(脫)일본'화 시동을 걸었습니다. 기술력이 있어도 일본산에 밀려 제품 개발을 미루던 기업들이 정부지원까지 맞물리며 본격적으로 연구 개발과 양산에 나선 건데요. 한번 국산화가 이뤄지면 더 이상은 일본산을 쓸 이유가 없을 것이라고 업계는 말합니다. 고장석 기자입니다.[기사내용]스마트폰의 oled 패널을 제작할 때 꼭 필요한 핵심부품인 파인메탈마스크(FMM/섀도마스크)일본산에 100% 의존해 온 대표적인 디스플레이 부품입니다.2019-08-07 09:12:02고장석 기자
-
"中企 기술 상용화 어렵다"…중기부, 日 수출규제 애로사항 청취중소벤처기업부가 오늘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일본 수출 규제 확대에 따른 기업들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정부의 피해 기업 지원 방안을 안내하는 간담회를 열었습니다.이번 간담회에는 비엠금속, 반도, 일우정밀, 엔케이산기 등 부품·소재·장비 8개 업체 대표들이 참석했습니다.이들은 핵심 기술을 지니고 있어도 자금이 부족하고 판로도 제한적이라 제품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호소했습니다.이에 대해 박영선 장관은 '대중소기업 상생 품목'을 설정하고 대기업이 중소기업 제품의 판로를 보장해주는2019-08-07 09:05:55윤석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