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세일즈포스, CRM 솔루션에 블록체인 플랫폼 첫 적용
CRM(고객관계관리) 선도기업 세일즈포스가 기업이 더 쉽고 안전하게 산재된 데이터를 관리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 기술을 CRM에 적용했다고 6일 밝혔다.
세일즈포스가 적용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은 별도의 복잡한 코딩 과정 없이 GUI 기반의 간단한 클릭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로우 코드(Low Code) 개발 방식을 적용했다. 기존의 블록체인 기술이 가진 높은 기술 장벽으로 인해 접근성이 낮았던 문제를 대폭 해결할 것으로 기대된다.
세일즈포스 제품 총괄 브렛 테일러는 “세일즈포스가 추구하는 방향성 중 하나는 바로 발전된 기술을 통해 고객사가 변화하는 미래에 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며 “이번 기술 확장을 통해 전에 없던 데이터 관리 생태계를 구축하고 더 진보된 상호연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블록체인을 활용하면 ‘연결성(Connectivity)’을 극대화시킬수 있다고 세일즈포스 측은 설명했다. 비지니스를 구성하는 주체 간의 연결망이 탄탄해야 고객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어, 많은 기업들이 상호연결성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블록체인은 연결성을 가져오면서도 분산원장기술의 특성을 활용해 신뢰성도 확보할 수 있다.
세일즈포스 블록체인 플랫폼은 하이퍼레저 소투스 (Hyperledger Sawtooth)가 제공하는 오픈소스 기술을 응용했다. 이를 통해 분산된 데이터의 수집과 진위성 판단이 쉬워져 CRM전반에 걸친 높은 신뢰성 확보가 가능하다.
한편 세일즈포스 블록체인은 오는 2020년 모든 기능이 공개될 예정이다.
김태환 테크엠 기자 kimthin@techm.kr
-
소금으로 저렴한 배터리 만드는 기술 개발…나트륨을 이차전지 전극으로 활용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에너지저장연구단 정경윤 박사팀이 바닷물 속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소금의 주요 구성성분인 염화나트륨(NaCl)을 기반으로 하는 나트륨이온 이차전지용 전극 재료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6일 밝혔다.전기화학적인 에너지저장 기술인 배터리는 소형 전자기기, 전기자동차, 대규모 전력저장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대규모 전력저장 장치에는 수 MWh~GWh 규모로 사용돼 배터리 가격과 경제성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기존의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우수한 성능을 갖고 있지만 리튬과 코발트 같2019-08-07 09:15:31박응서 기자
-
소재·부품 脫일본 러시…"한 번 국산화 되면 다시는 일본산 안 쓴다"[앵커멘트]국내 반도체·디스플레이 업계가 소재 부품에서 '탈(脫)일본'화 시동을 걸었습니다. 기술력이 있어도 일본산에 밀려 제품 개발을 미루던 기업들이 정부지원까지 맞물리며 본격적으로 연구 개발과 양산에 나선 건데요. 한번 국산화가 이뤄지면 더 이상은 일본산을 쓸 이유가 없을 것이라고 업계는 말합니다. 고장석 기자입니다.[기사내용]스마트폰의 oled 패널을 제작할 때 꼭 필요한 핵심부품인 파인메탈마스크(FMM/섀도마스크)일본산에 100% 의존해 온 대표적인 디스플레이 부품입니다.2019-08-07 09:12:02고장석 기자
-
"中企 기술 상용화 어렵다"…중기부, 日 수출규제 애로사항 청취중소벤처기업부가 오늘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일본 수출 규제 확대에 따른 기업들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정부의 피해 기업 지원 방안을 안내하는 간담회를 열었습니다.이번 간담회에는 비엠금속, 반도, 일우정밀, 엔케이산기 등 부품·소재·장비 8개 업체 대표들이 참석했습니다.이들은 핵심 기술을 지니고 있어도 자금이 부족하고 판로도 제한적이라 제품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호소했습니다.이에 대해 박영선 장관은 '대중소기업 상생 품목'을 설정하고 대기업이 중소기업 제품의 판로를 보장해주는2019-08-07 09:05:55윤석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