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노화 막는 원리’로 ‘배터리 수명’늘려…UNIST, 항산화작용 모방한 이차전지 촉매 개발
우리 몸은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작용을 통해 노화를 지연시킨다. 국내 연구진이 이 원리를 배터리에 활용해 수명을 늘리는 방법이 개발됐다.
UNIST는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의 송현곤-곽상규 교수 공동연구팀이 생체반응을 모방한 촉매를 개발해, 리튬-공기전지의 성능을 높이고 수명을 늘리는 데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리튬-공기전지는 리튬이온 전지보다 에너지 밀도가 3~5배 높은 차세대 배터리다. 양극에서 반응에 관여하는 물질로 ‘산소(O)’를 사용해 전지 무게가 가볍고 친환경적이라는 큰 장점이 있다. 하지만 전기를 사용하는 방전 과정에서 나오는 ‘활성산소’가 문제를 일으킨다. 활성산소는 반응성이 높고 불안정해 다양한 반응을 추가로 만들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배터리 용량이 떨어지며 수명도 준다.
연구진은 이 문제의 해법을 몸에서 찾았다. 우리 몸에서 활성산소가 만들어지며, 이를 제거하기 위해 항산화효소(SOD)가 존재한다는 데서 아이디어를 얻은 것이다. 생체 내에서 항산화 효소는 반응성 높은 활성산소를 ‘과산화이온’과 ‘산소’로 바꾼다. 그 덕분에 세포들이 활성산소로부터 안전하게 지켜진다.
연구진은 항산화효소의 원리를 모방한 촉매인 MA-C60을 만들고, 리튬-공기전지의 양극(공기극) 쪽에 적용했다. 이 촉매가 활성산소인 초과산화이온을 과산화이온과 산소(O₂)로 바꿨다. 활성산소가 일으키는 추가 반응을 방지한 것이다. 또 여기서 나온 물질이 전지 효율을 높였다.
송현곤 교수는 “이번 연구는 리튬-공기전지뿐 아니라 활성산소에 의해 부반응을 일으키는 다양한 고용량 전지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연구는 재료 분야의 저명한 국제학술지 ‘에이씨에스 나노(ACS nano)’에 7월 18일자로 공개됐다.
박응서 테크엠 기자 gopoong@techm.kr
-
[블록체人터뷰] 퍼블릭 클라우드 같은 블록체인으로 플랫폼 성능 향상블록체인의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되는 것이 속도와 확장성이다. 분산원장을 거래참가자 모두가 공유해 중앙집중식에 비해 느릴 수밖에 없고, 하나의 정책(거버넌스)에 종속돼 다른 플랫폼이나 프로그램을 받아들이기 어렵다.이그드라시는 블록체인 플랫폼을 마치 퍼블릭 클라우드처럼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중심을 잡는 블록체인 플랫폼에 가지치기를 하듯 사이드체인을 활용해 이종 간에도연결할 수 있다.북유럽신화 속 세계수처럼 블록체인 연결이그드라시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세계수 ‘이그드라실’과 해시(Hash2019-08-08 18:40:11김태환 기자
-
‘노화 막는 원리’로 ‘배터리 수명’늘려…UNIST, 항산화작용 모방한 이차전지 촉매 개발우리 몸은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작용을 통해 노화를 지연시킨다. 국내 연구진이 이 원리를 배터리에 활용해 수명을 늘리는 방법이 개발됐다.UNIST는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의 송현곤-곽상규 교수 공동연구팀이 생체반응을 모방한 촉매를 개발해, 리튬-공기전지의 성능을 높이고 수명을 늘리는 데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리튬-공기전지는 리튬이온 전지보다 에너지 밀도가 3~5배 높은 차세대 배터리다. 양극에서 반응에 관여하는 물질로 ‘산소(O)’를 사용해 전지 무게가 가볍고 친환경적이라는 큰 장점이 있다. 하지만 전2019-08-08 15:16:05박응서 기자
-
인공광합성 기술 실용화 앞당기는 촉매 개발…실제 환경에서도 내구성이 뛰어나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국가기반기술연구본부 민병권 박사 연구팀이 인공광합성 기술의 실용화를 앞당길 수 있는, 실제 환경에서도 장시간 안정적으로 구동되는 인공광합성 촉매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인공광합성 기술은 태양광을 이용해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알려진 이산화탄소를 부가가치를 갖는 물질로 전환해 자원화할 수 있는 에너지·자원 분야에서 꿈의 기술로 부른다.인공광합성 기술을 실용화하려면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된 상태에 있는 이산화탄소를 손쉽게 변환하기 위한 높은 효율과 이 효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촉매가2019-08-08 15:12:22박응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