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인공광합성 기술 실용화 앞당기는 촉매 개발…실제 환경에서도 내구성이 뛰어나
저가 탄소 소재 촉매 이용, 이산화탄소로 일산화탄소 고효율 생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국가기반기술연구본부 민병권 박사 연구팀이 인공광합성 기술의 실용화를 앞당길 수 있는, 실제 환경에서도 장시간 안정적으로 구동되는 인공광합성 촉매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인공광합성 기술은 태양광을 이용해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알려진 이산화탄소를 부가가치를 갖는 물질로 전환해 자원화할 수 있는 에너지·자원 분야에서 꿈의 기술로 부른다.
인공광합성 기술을 실용화하려면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된 상태에 있는 이산화탄소를 손쉽게 변환하기 위한 높은 효율과 이 효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촉매가 필요하다.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대부분 실험실 연구에 머무르고 있다.
KIST 연구진은 이산화탄소 변환 전기화학 시스템의 가장 기본 구성 요소인 전해질을 초고순도의 증류수 대신 수돗물로 바꿨다. 또 은 촉매를 이용해 수돗물 성분 중 ‘철’ 성분이 촉매 성능을 가장 크게 떨어뜨린다는 사실도 밝혔다.
이에 연구진은 실제 물을 사용하는 환경에서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촉매를 철 성분으로부터 보호했다. 이를 위해 금속 불순물이 증착돼도 문제가 없도록 탄소나노튜브에 질소 원소를 함유한 형태의 촉매를 개발했다. 이 촉매는 고가의 은 촉매에 버금가는 이산화탄소 전환 성능을 보였고, 수돗물에서도 120시간 동안 안정적인 성능을 보였다. 반면 은 촉매는 20분에 성능이 80% 이상 감소한다.
KIST 민병권 본부장은 “이 연구로 밝혀낸 내구성 저해 요소와 탄소 기반 촉매의 장시간 내구성 확보 결과를 통해 인공광합성 기술의 실용화 가능성을 더욱 높일 것”이라고 기대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촉매 분야 최고 수준 과학전문지인 ‘Applied Catalysis B: Environmental’ 최신호에 게재됐다.
박응서 테크엠 기자 gopoong@techm.kr
-
[블록체人터뷰] 퍼블릭 클라우드 같은 블록체인으로 플랫폼 성능 향상블록체인의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되는 것이 속도와 확장성이다. 분산원장을 거래참가자 모두가 공유해 중앙집중식에 비해 느릴 수밖에 없고, 하나의 정책(거버넌스)에 종속돼 다른 플랫폼이나 프로그램을 받아들이기 어렵다.이그드라시는 블록체인 플랫폼을 마치 퍼블릭 클라우드처럼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중심을 잡는 블록체인 플랫폼에 가지치기를 하듯 사이드체인을 활용해 이종 간에도연결할 수 있다.북유럽신화 속 세계수처럼 블록체인 연결이그드라시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세계수 ‘이그드라실’과 해시(Hash2019-08-08 18:40:11김태환 기자
-
‘노화 막는 원리’로 ‘배터리 수명’늘려…UNIST, 항산화작용 모방한 이차전지 촉매 개발우리 몸은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작용을 통해 노화를 지연시킨다. 국내 연구진이 이 원리를 배터리에 활용해 수명을 늘리는 방법이 개발됐다.UNIST는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의 송현곤-곽상규 교수 공동연구팀이 생체반응을 모방한 촉매를 개발해, 리튬-공기전지의 성능을 높이고 수명을 늘리는 데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리튬-공기전지는 리튬이온 전지보다 에너지 밀도가 3~5배 높은 차세대 배터리다. 양극에서 반응에 관여하는 물질로 ‘산소(O)’를 사용해 전지 무게가 가볍고 친환경적이라는 큰 장점이 있다. 하지만 전2019-08-08 15:16:05박응서 기자
-
인공광합성 기술 실용화 앞당기는 촉매 개발…실제 환경에서도 내구성이 뛰어나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국가기반기술연구본부 민병권 박사 연구팀이 인공광합성 기술의 실용화를 앞당길 수 있는, 실제 환경에서도 장시간 안정적으로 구동되는 인공광합성 촉매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인공광합성 기술은 태양광을 이용해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알려진 이산화탄소를 부가가치를 갖는 물질로 전환해 자원화할 수 있는 에너지·자원 분야에서 꿈의 기술로 부른다.인공광합성 기술을 실용화하려면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된 상태에 있는 이산화탄소를 손쉽게 변환하기 위한 높은 효율과 이 효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촉매가2019-08-08 15:12:22박응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