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SK텔레콤, 5G 고질병이던 실내속도 2배 향상 기술 개발
SK텔레콤이 5세대 이동통신(5G)의 고질병으로 지적됐던 실내속도를 2배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
SK텔레콤은 실내 5G 속도를 2배 향상시키고, 데이터 사용 밀집 지역의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는 ‘5GX 인빌딩 솔루션’ 개발에 성공했다고 7일 밝혔다.
SK텔레콤은 ICT기술센터 내 국내 중소 장비 제조사들과 협력을 위한 테스트베드를 구축해 기술 개발과 최종 성능 검증을 완료했다. 해당 솔루션은 올해 3분기 이후부터 상용망에 본격 적용된다.
솔루션에는 ‘4Tx-4Rx’ 다중입출력(MIMO)을 지원하는 ‘액티브 안테나’ 기술이 세계 최초로 적용됐다. 4Tx-4Rx MIMO기술을 활용하면 소형 실내 기지국인 ‘5G 스몰셀’에 데이터 송수신용 안테나를 각각 4개 탑재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기존 각각 2개의 송수신 안테나를 갖고 있는 2Tx-2Rx MIMO 기술 대비 데이터 전송속도가 약 2배 빨라져 실내에서도 기가(Gbps)급 속도를 즐길 수 있다.
또 기지국이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용량도 LTE 대비 최대 16배까지 늘어나, 지하철이나 쇼핑몰 등 인구 밀집 지역에서도 지연 없이 원활한 5G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박종관 SK텔레콤 5GX랩스장은 “5G 시대가 본격화되면 총 트래픽의 80%가 실내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전파가 닿기 힘든 실내나 지하철 등 인구가 밀집된 지역에서도 고객들이 고품질의 5G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태환 테크엠 기자 kimthin@techm.kr
-
[블록체人터뷰] 퍼블릭 클라우드 같은 블록체인으로 플랫폼 성능 향상블록체인의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되는 것이 속도와 확장성이다. 분산원장을 거래참가자 모두가 공유해 중앙집중식에 비해 느릴 수밖에 없고, 하나의 정책(거버넌스)에 종속돼 다른 플랫폼이나 프로그램을 받아들이기 어렵다.이그드라시는 블록체인 플랫폼을 마치 퍼블릭 클라우드처럼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중심을 잡는 블록체인 플랫폼에 가지치기를 하듯 사이드체인을 활용해 이종 간에도연결할 수 있다.북유럽신화 속 세계수처럼 블록체인 연결이그드라시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세계수 ‘이그드라실’과 해시(Hash2019-08-08 18:40:11김태환 기자
-
‘노화 막는 원리’로 ‘배터리 수명’늘려…UNIST, 항산화작용 모방한 이차전지 촉매 개발우리 몸은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작용을 통해 노화를 지연시킨다. 국내 연구진이 이 원리를 배터리에 활용해 수명을 늘리는 방법이 개발됐다.UNIST는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의 송현곤-곽상규 교수 공동연구팀이 생체반응을 모방한 촉매를 개발해, 리튬-공기전지의 성능을 높이고 수명을 늘리는 데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리튬-공기전지는 리튬이온 전지보다 에너지 밀도가 3~5배 높은 차세대 배터리다. 양극에서 반응에 관여하는 물질로 ‘산소(O)’를 사용해 전지 무게가 가볍고 친환경적이라는 큰 장점이 있다. 하지만 전2019-08-08 15:16:05박응서 기자
-
인공광합성 기술 실용화 앞당기는 촉매 개발…실제 환경에서도 내구성이 뛰어나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국가기반기술연구본부 민병권 박사 연구팀이 인공광합성 기술의 실용화를 앞당길 수 있는, 실제 환경에서도 장시간 안정적으로 구동되는 인공광합성 촉매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인공광합성 기술은 태양광을 이용해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알려진 이산화탄소를 부가가치를 갖는 물질로 전환해 자원화할 수 있는 에너지·자원 분야에서 꿈의 기술로 부른다.인공광합성 기술을 실용화하려면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된 상태에 있는 이산화탄소를 손쉽게 변환하기 위한 높은 효율과 이 효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촉매가2019-08-08 15:12:22박응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