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기술획득으로 일본에 대항…연구개발하거나 기업 사면 지원
[앵커멘트]
일본이 백색국가에서 우리나라를 제외한 가운데 우리정부는 일본에 관련 조치의 철회를 요구하는 동시에 국내에서는 관련 산업의 국산화 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기술 획득을 위해 연구개발과 외국 전문기업 인수 등에 대한 지원에도 나섭니다. 이재경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사내용]
일본은 어제(7일) 우리나라를 백색국가에서 제외하면서 예상과 달리 추가 규제품목을 발표하지 않았습니다.
또 기존 규제 품목에 속하는 포토레지스트 수출 한 건을 개별허가하기도 했습니다.
이는 일본이 국제사회의 비판을 의식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우리나라도 오늘(8일) 일본을 백색국가에서 배제하는 조치를 발표할 예정이었으나 일본의 움직임을 조금 더 지켜보고 결정하기로 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올해 첫 국민경제자문회의를 주재하고 일본에 대해 "매우 이율배반적"이라고 비판하고 "부당한 수출규제 조치를 하루 속히 철회해야 한다"고 요구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또 "우리 경제의 체질과 산업생태계를 개선해 새롭게 도약하는 계기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기술 자립을 위해 정부는 소재·부품·장비를 비롯한 산업 전 분야의 연구개발 제도부터 손보기로 했습니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정부는 이러한 공급망의 초크 포인트(소수만 가진 핵심기술)를 극복하기 위해서 수요기업과 공급기업의 협력을 강화하고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응하도록 산업기술 R&D를 개편코자 합니다."]
정부의 연구개발과제에 참여하는 경우 대기업의 출연금 비중을 67%에서 33%로 줄이기로 했습니다.
대기업이 성능 테스트장비 등 현물로 참여하면 아예 출연금을 내지 않아도 되도록 할 방침입니다.
연구자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선 연구가 실패하더라도 성실히 수행했다는 평가만 받으면 향후 과제 참여 제한을 없애고, 관행적으로 매년 실시하는 연구발표회도 없애기로 했습니다.
연구개발 대신 아예 전문기업을 사거나 투자하면 세제로 지원합니다.
우리나라 대기업이 외국의 소재·부품·장비 전문기업을 인수하면 인수금액의 5%를 세액공제하기로 했습니다.
대기업들이 공동으로 소재·부품·장비 관련 중소·중견기업에 출자하면 출자금액의 5%를 법인세에서 세액공제받게 됩니다.
정부는 소재·부품·장비 산업을 국산화하고 위축된 우리 경제의 활력도 되살린다는 목표입니다.
머니투데이방송 이재경입니다.
이재경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MTN단독] 삼성, 日소재 부품 빼기 '반도체,스마트폰, 가전' 모두 추진..."일본이 와서 빌어도 이미 …[앵커멘트]삼성전자의 일본산 부품 소재 교체작업이 반도체 뿐 아니라 스마트폰과 가전부문까지 전사적으로 진행중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내년 생산분부터는 일본산을 모두 배제하라는 삼성의 내부지침에 따른 것입니다. 삼성관계자는 "일본 기업들이 와서 빌어도 이젠 늦었다"라고 말할 만큼 확고하고 또 빠르게 진행중임을 시사했습니다. 조은아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삼성전자의 일본산 부품 소재 걷어내기 작업이 매우 광범위하고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삼성은 최근 내부공문을 하달해 전면2019-08-12 09:24:08조은아 기자
-
[현장톡톡]공간정보로 똑똑한 미래 연다…'2019 스마트국토엑스포' 개막공간정보로 똑똑한 미래 연다국내 최대 우리 땅 공간정보축제2019 스마트국토엑스포 개막[박선호 / 국토교통부 제1차관 : 공간정보는 데이터와 사람, 그리고 산업을 서로 연결하는 허브로서 미래 먹거리를 창출해 낼 수 있는 핵심적인 기반입니다. 정부는 공간정보를 다양한 산업들과 활발하게 융·복합 해내면서...]23개국 정부·기관 참여85개 기업 186개 전시 부스 열어한국국토정보공사 LX, 디지털 트윈 기술로 구현'전북혁신도시' 홀로그램 체험 콘텐츠 등 선보여2019-08-12 09:18:22김민환 기자
-
인선 후 반응 엇갈리는 최기영 과기·한상혁 방통위...청문 인준 후 우선 과제는?문재인 정부의 과학기술·ICT·미디어 정책을 나눠맡는 두 부처의 수장이 이례적으로 '동시교체'됨에 따라 관가(官家)와 입법부, 업계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임기가 보장된 방송통신위원장이 중도하차하는 '이변'이 생기고 일본과의 갈등으로 반도체 부품 소재 대란이 야기되자 '인공지능 반도체 전문가'인 최 교수가 구원투수로 투입되며 두 부처의 수장이 동시에 물갈이되는 이변이 생겼다.최기영 후보자의 경우 현 상황에 걸맞게 '최적의 전문가'를 인선했다는 평2019-08-12 09:11:20서정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