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갤럭시노트10, S펜은 '마술봉'… 스캔만 하면 3D 캐릭터가 살아 움직인다
최신 카메라 기술 집약…라이브포커스·슈퍼스테디 기능 등 적용
[앵커멘트]
삼성전자가 갤럭시노트10을 공개했습니다. 노트10의 강점은 단연 S펜과 카메라 가능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누구나 전문가 수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을 정도인데, S펜의 에어액션 기능이 더해져 보다 편리하게 활용될 것으로 보입니다. 현지에서는 S펜을 두고 마술봉이란 표현까지 나올 정도입니다. 조은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사내용]
분홍색 동물인형을 한바퀴 돌며 스마트폰으로 스캔하자 화면에 인형을 그대로 본뜬 3D 캐릭터가 나타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캐릭터는 사람의 움직임을 똑같이 따라합니다.
삼성전자는 새로 선보인 갤럭시노트10은 최신 카메라 기술이 집약돼 있습니다.
고동진/ 삼성전자 IM부문 사장
오늘 이곳에서 새로운 카테고리의 기술을 만들어가는 혁신가들과 파트너십 협력으로 어떻게 의미있는 혁신으로 전환하고 있는지 보여드리려고 합니다.
배경을 흐릿하게 처리하고 피사체를 강조할 수 있는 라이브 포커스 기능을 동영상 촬영에 지원하고, 전문 카메라 수준의 흔들림없는 영상 촬영이 가능한 '슈퍼 스테디' 기능도 적용됐습니다.
뿐만 아닙니다. S펜 기능도 한층 강화됐습니다.
S펜으로 손글씨를 작성하고 바로 디지털 텍스트로 변환해 이미지 파일로 저장할 수 있고 마이크로소프트 워드 파일로도 변환해 공유 가능합니다.
전작에서 선보였던 S펜 원격 제어 기능은 사진 촬영 뿐만이 아니라 촬영 모드 변경과 줌인, 줌아웃도 가능합니다.
현지 반응도 긍정적입니다.
첸 윤유 /대만 유니크 위성 텔레비전
마술같은 펜을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펜으로 카메라를 컨트롤하고 많은 것을 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노트10이 마음에 듭니다.
갤럭시노트10 시리즈는 노트10과 노트10 플러스 두가지 버전으로 출시됩니다.
노트10플러스는 기존 노트8과 노트9 크기와 비슷하지만 보다 가볍고 화면 역시 테두리(베젤)을 극도로 최소화해 시원한 화면감을 보여줍니다.
모두 5G 모델로 출시되며, 가격대는 최소 124만 8500원(노트10 256GB) 최대 149만6000원(노트10플러스512GB) 입니다.
150만원에 육박하는 고가지만 삼성전자는 확 달라진 디자인과 강력한 성능을 바탕으로 하반기 돌풍을 이끌내겠다는 목표입니다.
머니투데이방송 조은아입니다.
조은아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MTN단독] 삼성, 日소재 부품 빼기 '반도체,스마트폰, 가전' 모두 추진..."일본이 와서 빌어도 이미 …[앵커멘트]삼성전자의 일본산 부품 소재 교체작업이 반도체 뿐 아니라 스마트폰과 가전부문까지 전사적으로 진행중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내년 생산분부터는 일본산을 모두 배제하라는 삼성의 내부지침에 따른 것입니다. 삼성관계자는 "일본 기업들이 와서 빌어도 이젠 늦었다"라고 말할 만큼 확고하고 또 빠르게 진행중임을 시사했습니다. 조은아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삼성전자의 일본산 부품 소재 걷어내기 작업이 매우 광범위하고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삼성은 최근 내부공문을 하달해 전면2019-08-12 09:24:08조은아 기자
-
[현장톡톡]공간정보로 똑똑한 미래 연다…'2019 스마트국토엑스포' 개막공간정보로 똑똑한 미래 연다국내 최대 우리 땅 공간정보축제2019 스마트국토엑스포 개막[박선호 / 국토교통부 제1차관 : 공간정보는 데이터와 사람, 그리고 산업을 서로 연결하는 허브로서 미래 먹거리를 창출해 낼 수 있는 핵심적인 기반입니다. 정부는 공간정보를 다양한 산업들과 활발하게 융·복합 해내면서...]23개국 정부·기관 참여85개 기업 186개 전시 부스 열어한국국토정보공사 LX, 디지털 트윈 기술로 구현'전북혁신도시' 홀로그램 체험 콘텐츠 등 선보여2019-08-12 09:18:22김민환 기자
-
인선 후 반응 엇갈리는 최기영 과기·한상혁 방통위...청문 인준 후 우선 과제는?문재인 정부의 과학기술·ICT·미디어 정책을 나눠맡는 두 부처의 수장이 이례적으로 '동시교체'됨에 따라 관가(官家)와 입법부, 업계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임기가 보장된 방송통신위원장이 중도하차하는 '이변'이 생기고 일본과의 갈등으로 반도체 부품 소재 대란이 야기되자 '인공지능 반도체 전문가'인 최 교수가 구원투수로 투입되며 두 부처의 수장이 동시에 물갈이되는 이변이 생겼다.최기영 후보자의 경우 현 상황에 걸맞게 '최적의 전문가'를 인선했다는 평2019-08-12 09:11:20서정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