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K-캐릭터 이끄는 '카카오·라인프렌즈'…내수 경쟁 본격화
모회사의 캐시카우 역할…양사 주력 사업으로 부각
[앵커멘트]
네이버와 카카오의 캐릭터 사업인 라인프렌즈와 카카오프렌즈. 다양한 시도를 통해 모회사의 캐시카우 역할을 하며 주력 사업 중 하나로 부각되고 있는데요. 해외 시장 못지 않게 내수시장에서도 양사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박수연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강남대로 한복판에 지난주 문을 연 라인프렌즈 스토어. 개장 첫날부터 길게 대기줄을 늘어선 젊은 고객들이 매장을 한가득 메웠습니다.
한정판 콜라보 제품은 하루만에 완판될 정도로 반응이 폭발적입니다.
최근 BTS와 손잡고 만든 캐릭터가 북미, 중국, 동남아 등 전세계 14국에서 흥행몰이를 하고 있습니다.
[Michelle(오스트리아) 매장 방문 고객: BTS팬인데, 이 곳에서 스티커 등 관련 물건들을 샀습니다. 강남 매장 말고도 홍대, 명동 매장도 방문했는데 좋습니다.]
전세계 2억 명 넘게 사용하는 라인 메신저가 든든한 플랫폼 역할을 하고 있는 가운데 전체 고객 10명중 7명은 외국인일 정도로 글로벌 수요가 높습니다.
불과 두개의 건물을 사이에 두고 라인프렌즈 강남스토어점 바로 옆에 카카오프렌즈 강남점이 위치해 있어 양사간 경쟁도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카카오프렌즈는 친숙한 카카오톡 이모티콘으로 출발해 의류, 식음료, 전자기기 등 생활용품 전반으로 IP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일본 오프라인 매장 진출을 시작으로 글로벌 공략을 가속화하고 있는 가운데 젊은 여성층을 대상으로 호응도가 높습니다.
매출 성장세도 가파릅니다. 라인프렌즈는 지난해 2000억원에 육박했고, 카카오프렌즈 역시 설립 처음으로 1000억원을 돌파했습니다.
글로벌 시장에서 'K-캐릭터'를 이끄는 네이버와 카카오. 글로벌 시장에서 선전하고 있는 가운데 내수 시장에서도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박수연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홍남기 부총리 "소재·부품·장비 자립화, 절대 흐지부지되지 않을 것"[앵커멘트]일본 수출규제 대책마련을 위한 민관정 협의회가 두 번째로 모였습니다. 소재 부품 국산화는 절대 흐지부지하지 않고 끝까지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하고 구체적인 지원방안을 마련했습니다.고장석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일본이 수출 규제를 일부 완화하는듯한 태도를 취하자, 업계에서는 소재부품 국산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이냐는 의문이 나오고 있습니다.이에대해 정부는 소재, 부품, 장비의 국산화 의지에는 절대 흔들림이 없다고 강조했습니다.홍남기 경제부총리는 오늘(14일) 국회에서 열린2019-08-16 09:36:28고장석 기자
-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 후보, 방배동 아파트 2채 등 재산 106억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요청안이 14일 국회에 접수됐다.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국회에 제출한 청문요청안에서 "후보자가 반도체, 인공지능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이자 우리나라의 반도체 산업을 일으키는데 기여한 주역"이라고 말했다.또 "어려운 대내외 요건을 극복하고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해 AI, SW 산업을 육성하는 등 미래성장동력을 확보하고 과학기술계와의 소통을 통해 국가 연구개발 혁신을 하고, 과학기술과 ICT 분야의 경쟁력을 높일 적임자"라고 평가했다.청문요2019-08-16 09:33:57이명재 기자
-
네이버 데이터센터 유치전…총 96개 지자체·사업자 접수네이버는 두번째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부지 선정을 위한 최종 제안서에 총 96개 지자체가 접수했다고 14일 밝혔다.네이버는 지난달 12일부터 23일까지 두번째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건립을 희망하는 지방자치단체와 민간사업자에게 의향서를 받았다.의향서를 제출한 136곳의 지자체 및 민간사업자에게 안정성과 주변 환경 등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설립을 위해 필요한 상세 요건이 추가된 제안서를 요청했다.네이버는 "96개의 제안 부지에 대해 서류 심사 및 현장 실사 등을 거쳐 9월 말까지 우선협상부지 선정을 목표로 하고, 해당2019-08-16 09:30:59박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