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유튜브세 논의 시동 걸렸지만…걸림돌 '산적'
유한회사 광고 수익 책정할 법적 근거 없어…역외 사업자 징수 기준도 모호
정부가 유튜브·넷플릭스 등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를 대상으로 세금을 부과하는 '유튜브세(稅)' 논의에 본격적으로 착수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제도를 도입하기까지는 걸림돌이 산적해 난항이 예상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최근 정부출연 연구기관인 한국법제연구원에 유튜브세를 포함한 디지털세의 해외 동향 및 국내 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과제 수행을 요청했다.
방송통신발전기금 법정 분담금 제도를 개편해 유튜브를 비롯한 OTT 업체도 부과 대상에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방발기금은 방송·통신 산업 진흥을 목적으로 지상파·종합편성 채널·보도채널이 매년 내는 부담금으로 올해 기준 징수율은 방송광고매출액의 2~4% 수준이다. 앞서 지난해 국회는 이같은 내용의 방송법 일부 개정안을 발의하며 힘을 실어줬다.
정부가 나서서 논의를 시작한 것은 유튜브와 같은 글로벌 OTT 사업자에 대한 역차별 논란이 꾸준히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유튜브는 전 세계적으로 2400만 개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앱 분석 기관인 와이즈앱에 따르면 5월 기준, 모바일 동영상 앱 사용시간 점유율은 유튜브가 88%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이들 글로벌 OTT 업체들은 국내 망을 사용하면서 통신사에 망 이용료를 사실상 내지 않고 있다. 반면 국내 OTT 업체들은 수백억원대의 망 이용료를 지불하고 있어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유승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2017년 구글이 국내에 낸 세금은 약 200억원이다. 구글은 그 해 매출을 2600억원으로 신고했지만 전문가들은 실제 매출액은 최대 5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실제 유튜브세가 도입되기까지는 진통이 이어질 전망이다.
현행 법상으로는 구글과 같은 유한회사의 광고 수익을 책정할 법적 근거 자체가 없다. 정부는 국내 매출액 공개 의무 조항을 검토 중이지만 쉽지는 않을 것이라는게 업계의 중론이다. 현재 구글은 국제 조세제도 개편이 아닌 개별 국가 차원의 과세 추진에 강력하게 반대하고 있다.
OTT 사업자들의 매출 구조가 복잡해 광고 수익을 어떤 방식으로 책정할 것인지, 역외사업자 징수는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기준이 명확하게 세워져 있지 않은 점도 한계로 꼽힌다.
업계는 무엇보다 OTT 사업자에 대한 기준이 명확하게 세워져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통상 분쟁 가능성이 있는 사안인만큼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론도 존재한다.
박수연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직장인 10명 중 5명 "알바 경험 직장생활에 도움"취업 전 아르바이트를 하며 배운 경험이 취업이나 직장생활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잡코리아와 알바몬에 따르면 직장인 1,799명을 대상으로 '알바 경험과 직장생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아르바이트를 하며 배운 점이 있다'는 응답이 97%를 차지했습니다.특히 응답자들은 실제 알바를 하며 배운 점이 '취업할 때' 혹은 '직장생활에서' 도움이 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알바하며 배운 점이 취업할 때 도움 됐다'는 44%, '직장2019-08-20 09:12:07윤석진 기자
-
"세제 필요없는 산업용 세척기로 국산화 이뤘죠"앵커>기계에 묻은 기름때를 벗기려면 당연히 세제를 사용해야 한다고 생각하시죠. 이같은 생각을 뒤집고 순수하게 물로만 씻어내는 산업용 세척기를 개발한 중소기업이 있습니다. 일본 의존도가 높았던 화학 원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며 국산화를 이뤘습니다. 유찬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자>세척 용수에 참기름을 떨어뜨리자 기름이 순식간에 분해됩니다.기름이 그대로 둥둥 떠있는 일반 물과 비교해보면 그 차이를 더 쉽게 알 수 있습니다.물을 전기 분해해 만든 고 알칼리수 세척 용수로, 물로 만든 비누라고2019-08-20 09:08:46유찬 기자
-
'자본잠식' 넷게임즈, 모회사 넥슨과 위기 동반탈출 가능할까[앵커멘트]넥슨이 공을 들여 지난해 인수한 넷게임즈가 자본잠식 심화로 코스닥에서 관리대상종목으로 지정됐습니다. 이 회사의 신작이 넥슨의 핵심 성장동력으로 꼽히고 있는데요, 관련한 내용 서정근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히트'로 2016 대한민국 게임대상을 수상한 넷게임즈. '리니지2'와 '테라'를 만든 박용현 프로듀서가 설립한 곳으로, RPG 개발 명가로 손꼽힙니다.'히트' 서비스를 맡았던 넥슨은 후속작 '오버히트' 일본 출시를 앞두2019-08-20 09:04:05서정근 기자